![[박준석] 중국증시 무료 강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138869df34f779414285673a7181b19c50.jpg)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경쟁 환경에서 기업 가치 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애플(NASDAQ:AAPL)과 하드웨어·스토리지·주변기기 업계 주요 경쟁사들을 비교 분석한다. 주요 재무지표, 시장 지위, 성장 잠재력을 분석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애플은 세계 최대 기업 중 하나로, 소비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아이폰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맥,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 다른 제품들은 아이폰을 중심으로 한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일부로 설계되어 있다. 애플은 스트리밍 비디오, 구독 번들, 증강현실 등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추가해왔다. 자체 소프트웨어와 반도체를 설계하고 폭스콘, TSMC 등 하청업체와 협력해 제품과 칩을 제조한다. 애플 매출의 절반 미만이 직영점을 통해 발생하며, 대부분은 파트너십과 유통망을 통한 간접 판매로 이뤄진다.
기업명 | P/E | P/B | P/S | ROE | EBITDA(십억달러) | 매출총이익(십억달러) | 매출성장률 |
---|---|---|---|---|---|---|---|
애플 | 32.91 | 47.24 | 8.02 | 37.11% | 32.25 | 44.87 | 5.08% |
슈퍼마이크로컴퓨터 | 25.08 | 4.32 | 1.35 | 1.72% | 0.14 | 0.44 | 19.48% |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 | 8.53 | 0.92 | 0.77 | 2.39% | 1.11 | 2.29 | 16.27% |
넷앱 | 18.62 | 20.85 | 3.26 | 31.69% | 0.45 | 1.15 | 2.18% |
퓨어스토리지 | 182.45 | 14.16 | 6.12 | 3.12% | 0.09 | 0.59 | 11.4% |
웨스턴디지털 | 17.12 | 3.37 | 1.13 | 5.86% | 0.28 | 0.91 | 30.94% |
이스트만코닥 | 13.52 | 0.93 | 0.56 | -1.66% | 0.02 | 0.05 | -0.8% |
터틀비치 | 16.49 | 2.03 | 0.68 | -0.55% | 0.0 | 0.02 | 14.42% |
평균 | 40.26 | 6.65 | 1.98 | 6.08% | 0.3 | 0.78 | 13.41% |
애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다:
주가수익비율(P/E)은 32.91로 업계 평균 대비 0.82배 낮아, 합리적인 가격에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주가순자산비율(P/B)은 47.24로 업계 평균 대비 7.1배 높아, 장부가 기준으로는 고평가 상태일 수 있다.
주가매출비율(P/S)은 8.02로 업계 평균의 4.05배를 기록해, 매출 실적 대비 주가가 다소 고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7.11%로 업계 평균보다 31.03% 높아,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BITDA는 322.5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107.5배를 기록해, 높은 수익성과 견고한 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준다.
매출총이익은 448.7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57.53배를 기록해, 핵심 사업에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매출성장률은 5.08%로 업계 평균 13.41%를 크게 하회해, 매출 성장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자본비율(D/E)은 기업의 자본구조와 재무 레버리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업계 비교에서 부채자본비율을 고려하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 프로필을 간단히 평가할 수 있어 의사결정에 유용하다.
애플을 상위 4개 경쟁사와 비교한 부채자본비율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플은 상위 4개 경쟁사 중 부채자본비율이 중간 수준을 기록했다.
부채자본비율 1.47은 부채와 자기자본을 적절히 활용한 균형 잡힌 재무구조를 보여준다.
하드웨어·스토리지·주변기기 업계에서 애플의 P/E, P/B, P/S 비율은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ROE와 EBITDA, 매출총이익은 견고한 재무성과를 보여주지만, 낮은 매출성장률은 성장 측면에서 과제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