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중국증시 무료 강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138869df34f779414285673a7181b19c50.jpg)
부동산 중개 및 모기지 대출 서비스 기업 레드핀(NASDAQ:RDFN)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 실적은 양호하지만, 최근 5년간 66% 하락했다. 2021년 2월 최고점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한 상태다. 고물가와 고금리, 최근의 경제 불확실성이 주된 원인이다. 하지만 이미 부정적 요인들이 주가에 반영된 만큼, 긍정적 변화가 나타날 경우 큰 폭의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이를 '가치 압축' 현상으로 설명한다. 상장기업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기업에 대한 기대치가 크게 낮아진 상태에서는 작은 긍정적 요인에도 급반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레드핀의 경우 기준금리와 통상정책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긍정적 전망의 근거도 충분하다.
연준은 주요 경제지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제여건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정당화할 경우, 연준이 비둘기파적 접근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주가가 크게 하락한 상태에서 금리 인하 움직임이 나타난다면 레드핀 주가에 강력한 모멘텀이 될 수 있다.
통상정책 측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건축자재 비용 상승 우려를 야기하며 주택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과의 임시 무역협정 타결로 상황이 개선되는 모습이다.
다시 말해, 부정적 요인들이 대부분 반영됐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경제가 조금이라도 개선된다면 레드핀 주가는 큰 폭의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
레드핀의 사업 전망이 전환점에 도달했을 수 있지만, 트레이더들은 단순한 전망 분석을 넘어 더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하다. 여기서 수요의 축적과 분배를 분석하는 시장 거래량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난 10주간 레드핀 주가는 '7-3-U' 시퀀스를 기록했다. 상승 7주, 하락 3주가 혼재된 가운데 전체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인 것이다. 이 강세 지배적 시퀀스는 레드핀의 기업공개 이후 53회 발생했다. 주목할 점은 62.26%의 경우 다음 주 주가가 상승했으며, 중간 수익률은 4.86%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드핀 주식의 주간 상승 확률은 48.8%에 불과하다. 즉, 레드핀은 본질적으로 부정적 편향을 보인다. 따라서 레드핀 옵션 매수 시 프리미엄에는 이러한 비관적 성향이 반영된다.
그러나 특정 조건에서는 레드핀 주가의 상승 모멘텀 확률이 기본 확률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7-3-U 시장 거래량 데이터가 바로 이를 시사한다. 이는 특별한 지표라기보다, 이 시퀀스가 나타날 때 레드핀이 통계적으로 불리한 베팅에서 유리한 베팅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강세장이 이어진다면 레드핀 주가는 1~2주 내 10.64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이 전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옵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단기 수익을 노리는 트레이더들은 5월 30일 만기의 10/10.50 불 콜 스프레드를 고려할 수 있다. 이는 10달러 콜옵션을 매수하고 동시에 10.50달러 콜옵션을 매도하는 거래다. 매도 콜옵션의 수익이 매수 콜옵션의 비용을 부분적으로 상쇄해 순비용은 32달러이며, 이는 최대 손실액이다.
만기 시점에 레드핀 주가가 매도 행사가인 10.50달러를 상회할 경우, 앞서 언급한 불 스프레드의 최대 수익은 18달러로 56%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
이 거래의 매력은 명목상 위험이 매우 작다는 점이다. 32달러면 소액으로도 참여가 가능하다. 확률적 관점에서도 간과된 이점이 있다.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은 공매도 세력이 통계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가정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경우에만 해당된다.
그러나 레드핀은 현재 특정 시장 거래량 패턴에 반응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번 거래의 성패를 가를 수 있는 핵심 요인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