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 메인
  • NEWS
이번주 방송스케쥴

AI 인프라 기업 코어위브 주가 급등...엔비디아 지분투자 효과

Nikolaos Sismanis 2025-07-03 08:52:00
AI 인프라 기업 코어위브 주가 급등...엔비디아 지분투자 효과

암호화폐 채굴에서 AI 혁명의 동력으로 성공적으로 변신하고 엔비디아의 지원을 받는 기업이 있다. 바로 상장 이후 340% 급등한 코어위브(CRWV)다. AI 클라우드 인프라 분야의 신흥 강자로 급부상한 코어위브는 월가의 주목을 한몸에 받고 있다. 특히 기관투자자들이 대주주를 이루고 있어 스마트머니가 이 종목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코어위브의 급격한 성장 배경과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 그리고 현재 밸류에이션이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이 신흥 AI 기업이 성장의 초입에 있는 이유와 초기 단계에서 매수가 유효한 이유를 분석한다.



코어위브 사업과 엔비디아 연계

코어위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많은 투자자들은 이 회사가 정확히 무엇을 하는지 모른다. 2017년 암호화폐 채굴 기업으로 출발한 코어위브는 현재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인프라를 전문으로 하는 하이퍼스케일러로 변신했다.


코어위브는 AI 모델 학습과 배포에 막대한 처리 능력이 필요한 기업들을 위한 컴퓨팅 기반을 제공한다. 미국과 유럽에 걸쳐 32개의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엔비디아의 최신 GPU를 탑재해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IBM 등 유수 기업들을 고객으로 확보했다.


코어위브의 차별점은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이다. 엔비디아는 주요 GPU 공급사일 뿐 아니라 코어위브 지분 약 6%(현재 가치 20억 달러 이상)를 보유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자사 AI 운영을 위해 코어위브의 인프라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 호혜적 관계를 통해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최신 칩 기술을 조기 확보할 수 있어 급변하는 AI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우위를 확보했다.



성장 전망과 5월 실적 호조

AI 붐에 힘입어 코어위브의 성장세는 놀라울 정도다. 상장 후 첫 실적발표에서 1분기 매출이 9억816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420%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 8억5300만 달러를 상회했다.


조정 EBITDA는 480% 증가한 6억6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62%의 마진율을 보여 성장이 순수하게 유기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입증했다. 오픈AI와의 112억 달러 계약을 포함해 259억 달러 규모의 수주잔고는 향후 수요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한다.


AI 산업 전망도 이를 뒷받침한다. 2026년까지 글로벌 AI 지출이 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GPU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에 주력하는 코어위브의 입지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데이터센터 전력을 420MW까지 확대하고, 웨이츠&바이어시스 인수를 통한 소프트웨어 확보, 어플라이드 디지털과의 70억 달러 규모 임대계약 등은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매출은 49억~51억 달러로 363% 증가가 예상되며, 자본지출은 200억~230억 달러를 계획하고 있다. 의료에서 금융까지 다양한 산업의 신규 고객 유치로 작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차지했던 62%의 매출 비중도 다각화될 전망이다.



코어위브 밸류에이션 분석

상장 이후 340% 급등으로 과매수 우려가 있지만,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현재 시가총액 780억 달러, 2025년 예상 매출 50억 달러 기준 주가수익비율(P/S)은 15.5배다. 2026년 매출이 110억 달러로 전망되면서 P/S는 6.7배로 하락한다. 73%의 높은 매출총이익률과 3자릿수 매출 성장률을 고려하면 매력적인 수준이다.


1분기에 3억146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나, 이는 상장 관련 비용과 87억 달러의 부채가 영향을 미쳤다. 조정영업이익이 1억6260만 달러에 달하는 등 실질적인 사업은 견조하다. AI 인프라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등과의 장기계약으로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확보했다.


30%를 상회하는 공매도 비중과 9월 예정된 락업 해제로 단기 변동성이 예상되나, 장기적으로는 견고한 성장이 전망된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증권가는 대체로 코어위브에 대해 긍정적이다. 최근 3개월간 매수 6건, 보유 11건, 매도 1건으로 '중립적 매수' 의견이 우세하다.


다만 향후 12개월 평균 목표주가는 78.53달러로 현재가 대비 50% 하락을 의미한다. 이는 증권가가 사업 전망에는 낙관적이나 주가가 다소 앞서 갔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AI 상류 시장 공략으로 장기 성장 추구

코어위브는 급변하는 AI 시장의 핵심 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지원, 탄탄한 수주잔고, 유수 기업들과의 거래 등을 바탕으로 AI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최근의 주가 상승은 실질적인 사업 성과에 기반한 것으로 평가된다. 2026년 기준 P/S 6.7배에 높은 매출총이익률, AI 시장의 장기 성장성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을 보여준다.


부채 부담과 자본집약적 성장전략이 리스크 요인이나, AI 시장의 잠재력과 코어위브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고려할 때 차세대 기술 대표주로서 초기 투자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