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126bb8576d3d3c4456b79ff60c17fd393b.jpg)
S&P 글로벌이 미국의 신용등급을 'AA+'로 재확인했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감세·지출법안의 재정 영향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되는 관세 수입을 주요 근거로 삼았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S&P는 '원 빅 뷰티풀 빌 법안'으로 알려진 트럼프의 최근 감세·지출법안의 재정적 영향에 대해 관세 수입이 상쇄 효과를 낼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7월 제정된 이 법안은 새로운 감세 혜택을 도입하고 2017년 트럼프의 감세 조치를 영구화했다. S&P는 "상당한 규모의 관세 수입이 최근 재정 법안으로 인한 재정 악화를 대체로 상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7월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210억 달러의 관세 수입이 증가했음에도 연방 재정적자는 전년 대비 20% 가까이 증가한 2910억 달러를 기록했다. 트럼프는 올 1월 취임 이후 특정 제품과 국가들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며 글로벌 무역전쟁을 촉발했다.
S&P는 연준이 인플레이션과 금융시장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것이라는 확신을 표명하며 미국 신용등급에 대해 안정적 전망을 유지했다. 정부 재정적자는 2020-2023년 평균 GDP 대비 9.8%, 2024년 7.5%에서 2025-2028년에는 평균 6.0%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S&P는 정치적 사건들이 미국 제도의 회복력, 장기 정책 수립의 신뢰성, 또는 연준의 독립성을 훼손할 경우 신용등급이 하락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의 '원 빅 뷰티풀 빌' 승인 이전, 토마스 매시(공화-켄터키) 의원은 이 법안 통과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재정적 곤경을 나타내는 BBB 수준으로 하락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편 무디스는 재정적자 증가와 이자비용 급증을 이유로 미국의 마지막 남은 AAA 신용등급을 박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이 뒤집힐 경우 새로운 대공황이 올 수 있다며 경제적 충격 가능성을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