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126bb8576d3d3c4456b79ff60c17fd393b.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하드웨어·스토리지·주변기기 업종에서 애플(NASDAQ:AAPL)과 주요 경쟁사들의 실적을 비교 분석했다. 주요 재무지표와 시장 지위, 성장 잠재력을 분석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애플은 세계 최대 기업 중 하나로 소비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아이폰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맥·아이패드·애플워치 등 다른 제품들은 아이폰을 중심으로 한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일부로 설계됐다. 애플은 스트리밍 비디오, 구독 번들, 증강현실 등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추가해왔다. 자체 소프트웨어와 반도체를 설계하고 폭스콘, TSMC 등 하청업체와 협력해 제품과 칩을 제조한다. 매출의 절반 미만이 직영점을 통해 발생하며, 대부분은 파트너십과 유통을 통한 간접 판매다.
기업명 | P/E | P/B | P/S | ROE | EBITDA(십억달러) | 매출총이익(십억달러) | 매출성장률 |
---|---|---|---|---|---|---|---|
애플 | 34.99 | 51.98 | 8.52 | 35.34% | 31.03 | 43.72 | 9.63% |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 20.52 | 1.17 | 0.90 | -4.4% | 0.87 | 2.17 | 5.87% |
웨스턴디지털 | 17.05 | 4.96 | 2.86 | 5.21% | 0.51 | 1.07 | 29.99% |
슈퍼마이크로 컴퓨터 | 25.74 | 4.10 | 1.24 | 3.08% | 0.14 | 0.44 | 25.15% |
넷앱 | 19.25 | 21 | 3.47 | 33.42% | 0.43 | 1.19 | 3.84% |
퓨어스토리지 | 150.58 | 15.03 | 6.05 | -1.1% | 0.04 | 0.54 | 12.26% |
로지텍 | 23.75 | 6.70 | 3.26 | 6.77% | 0.18 | 0.48 | 5.47% |
터틀비치 | 16.13 | 2.68 | 0.93 | -2.47% | 0.0 | 0.02 | -25.76% |
평균 | 39.0 | 7.95 | 2.67 | 5.79% | 0.31 | 0.84 | 8.12% |
애플의 주요 지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가수익비율(P/E)은 34.99로 업계 평균 대비 0.9배 낮아 합리적인 가격에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주가순자산비율(P/B)은 51.98로 업계 평균의 6.54배를 기록해 장부가 대비 고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주가매출비율(P/S)은 8.52로 업계 평균의 3.19배를 기록해 매출 실적 대비 다소 고평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5.34%로 업계 평균보다 29.55% 높아 효율적인 자본 운용을 보여준다.
EBITDA는 310.3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100.1배를 기록해 강력한 수익성과 현금창출 능력을 보유했다.
매출총이익은 437.2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52.05배를 기록해 핵심 사업에서 높은 수익성을 보였다.
매출성장률은 9.63%로 업계 평균 8.12%를 상회해 제품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입증했다.
부채자본비율(D/E)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 순가치 대비 부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업계 비교에서 부채자본비율을 살펴보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 프로필을 간단히 평가할 수 있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된다.
애플의 부채자본비율을 상위 4개 경쟁사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플은 상위 4개 경쟁사 중 중간 수준의 부채자본비율을 기록했다.
부채자본비율 1.54는 부채와 자본이 적절히 균형 잡힌 재무구조를 보여준다.
하드웨어·스토리지·주변기기 업종에서 애플의 P/E, P/B, P/S 비율은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됐음을 시사한다. 반면 높은 ROE, EBITDA, 매출총이익, 매출성장률은 업계 내 탁월한 수익성과 성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