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英 정부-제약사 약가협상 결렬...제약업계 `경쟁력 상실` 경고

2025-08-23 01:55:12
英 정부-제약사 약가협상 결렬...제약업계 `경쟁력 상실` 경고

영국 정부와 제약업계 간 약가협상이 금요일 결렬됐다. 업계는 이번 교착상태가 투자를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웨스 스트리팅 보건장관은 정부의 제안을 '전례 없는 수준'이라고 평가했으나, 제약사들은 여전히 과도한 비용이 부과된다며 키어 스타머 총리와의 직접 협상을 요청했다.


노동당 정부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 촉진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빠듯한 재정 상황과 국민건강보험(NHS) 개혁 공약과 충돌하고 있다.


이번 분쟁은 미국의 제약사 압박이라는 배경 속에서 전개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글로벌 약가를 미국의 높은 가격 수준에 맞추도록 제약사들에게 압력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갈등의 핵심은 영국의 브랜드 의약품 가격책정, 접근성 및 성장을 위한 자발적 제도(VPAG)다.


영국 정부는 3월, 신규 브랜드 의약품에 대한 법정 지불률을 2025년 하반기 NHS 매출의 15.5%에서 32.2%로 인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제약사들은 의무 지불금이 급증하면서 성장이 저해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현행 제도에서 기업들은 브랜드 의약품 매출의 23.5%에서 35.6%를 NHS에 지불해야 한다. 이는 유사 부담금이 5.7%에서 9% 수준인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 크게 높은 수준이다.


이 제도는 NHS의 의약품 지출이 설정된 한도를 초과할 경우 기업들이 정부에 매출을 환급하도록 요구한다.


현재 예산 상한을 초과하는 매출에 대한 환급률은 약 23%로,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정부는 이를 18~19%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업계는 이 비율이 여전히 다른 국가들보다 3배 가까이 높다며 한 자릿수 수준으로 낮출 것을 요구했다.


제약업계 경영진들은 또한 정부가 의약품 지출을 GDP 대비 0.3%에서 0.6%로 늘리는 계획이 2029년까지 시행되지 않아 구제책이 더욱 지연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노바티스의 요한 칼스트롬 임원은 영국이 '심각하게 경쟁력을 잃고 있다'며 기업들이 혁신에 더 높은 보상을 제공하는 미국, 중국, 일본 등의 시장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에 대해 자신들의 제안이 환급 수준을 의미 있게 낮추고 의약품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의 파스칼 소리오 CEO는 영국 내 백신 시설 계획을 보류한 상태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