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원격의료·웰니스 플랫폼 힘스앤허스헬스(HIMS)가 최근 발표한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73% 증가한 약 5억45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반면 2분기 순이익은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실적 발표 후 주가가 하락했음에도 연초 대비 95% 상승한 상태다. 그러나 월가는 이번 주가 하락을 매수 기회로 보지 않고 있다. 비(非) GLP-1 사업 부진과 노보노디스크(NVO)와의 체중감량제 불법 복제품 판매 관련 법적 리스크 등 단기적 과제들이 산적해있기 때문이다.
힘스앤허스헬스 주가는 목요일 시간외 거래에서 3% 하락했다. 블룸버그는 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동사의 광고 및 구독 취소 관행에 대한 민원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분기 실적 발표 후 TD 코웬의 조나 킴 애널리스트는 힘스앤허스헬스의 목표주가를 43달러에서 48달러로 상향했으나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다. 이 4성급 애널리스트는 경영진이 성장 이니셔티브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면서 2025년 3분기 EBITDA 가이던스가 기대치를 하회했다고 지적했다. 힘스앤허스헬스는 체중감량제 매출을 포함한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재확인했으나, 킴 애널리스트는 성기능 개선제 사업의 단기적 역풍과 2025년 3분기 GLP-1 매출의 순차적 감소를 우려했다. 이는 상용 용량 구독자들의 일부가 구독을 종료했기 때문이며, 4분기에는 다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또한 맞춤형 세마글루타이드 제공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송 및 규제 리스크를 언급했다. 킴은 힘스앤허스헬스가 미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이러한 투자가 마진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른 단기적 역풍으로는 성기능 개선제 사업의 일일 제품 전환 영향과 하반기 어려운 전년 동기 비교 기저 등을 꼽았다.
트루이스트증권의 제일렌드라 싱 애널리스트도 힘스앤허스헬스에 대해 목표주가 48달러와 함께 '보유' 의견을 유지했다. 그는 자바(Zava) 인수로 약 5000만 달러의 매출 기여가 예상됨에도 2025년 가이던스를 유지한 점을 지적했다. 싱은 향후 몇 분기 동안 성기능 개선제 특수 제품의 프리미엄 일일 제품 전환으로 인한 역풍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비 GLP-1 사업이 예상보다 부진하다고 덧붙였다. 싱은 경영진의 연간 전망이 이제 하반기 체중감량 사업이 2분기 추세 대비 대체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에 의존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트루이스트의 7월 카드 데이터에서 3분기 초반 추세가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어, 싱은 회사의 가이던스 달성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전반적으로 월가는 힘스앤허스헬스 주식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이다. 7개의 '보유', 2개의 '매수', 2개의 '매도' 의견을 종합한 컨센서스는 '보유'다. 평균 목표주가는 49.11달러로 4.2%의 상승여력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