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바이오카디아(BCDA)가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번 실적발표에서 바이오카디아는 신중한 낙관론을 제시했다. 회사는 임상시험과 규제 승인 과정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의 사업 전개와 유망한 파트너십 논의가 진행 중이다. 다만 연구개발비 증가, 순손실 확대, 낮은 현금 보유량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경영진은 규제 승인 획득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미래 성장에 초점을 맞추며 신중한 낙관론을 표명했다.
카디앰프 심부전 임상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됐다. 24개월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치료군에서 전체 사망률과 주요 심장 부작용(MACE) 발생률이 대조군 대비 낮게 나타났다. 특히 NT-proBNP 수치가 높은 환자군에서 p값 0.02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관찰되어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바이오카디아는 일본 PMDA에 카디앰프 심부전 임상시험 임상패키지를 제출했다. 2025년 4분기에 대면 미팅이 예정되어 있어, 일본 시장 진출 승인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허혈성 심부전 치료를 위한 카디알로 동종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 프로그램(BCDA-03)이 데이터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 심사를 성공적으로 통과했다. 이는 혁신적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진전이다.
바이오카디아는 헬릭스 생물치료제 전달 플랫폼과 모프 DNA 기술에 대한 파트너십 논의를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다. 특히 심장 전기생리학 시장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 시장 지위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이 기대된다.
2025년 2분기 연구개발비는 140만 달러로, 전년 동기 80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했다. 이는 임상시험 종료 활동과 규제 승인 절차에 따른 것이다.
2025년 2분기 순손실은 약 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160만 달러 대비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분기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98만 달러를 기록해 향후 사업 운영을 위한 추가 자금조달이 필요한 상황이다.
바이오카디아는 일본과 미국에서 카디앰프 심부전 임상시험의 규제 승인 획득에 주력하고 있다. 2025년 4분기 중순 일본 PMDA와의 중요 미팅이 예정되어 있으며, 미국에서는 헬릭스 생물치료제 전달 시스템의 FDA 드노보 510(k) 승인을 추진 중이다. 재무적으로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잠재적 파트너십을 모색하며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