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말리부보트(MBUU)가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말리부보트는 최근 실적발표에서 4분기 견조한 재무성과에도 불구하고 소매 환경의 도전과 관세 우려로 인해 혼조된 분위기를 보였다. 회사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을 주요 요인으로 지목하며 2026 회계연도에 대해 신중한 전망을 제시했다.
말리부보트의 4분기 순매출은 2억7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0.4% 증가했다. 이는 판매량 증가와 프로모션 비용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시장 기회를 활용하는 회사의 능력을 보여줬다.
회사는 4분기에 1,430만 달러, 연간 2,890만 달러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하며 사업 모델의 견고함을 입증했다. 이는 말리부보트의 재무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을 잘 보여준다.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코비아 245 센터 콘솔과 말리부 22 LSV를 포함한 11개의 2026년형 신모델을 출시했다. 이러한 혁신은 해양산업에서 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의 총이익은 3,270만 달러로 162.1% 증가했으며, 총이익률은 전년도 7.9%에서 15.8%로 개선됐다. 이는 효과적인 비용관리와 가격전략의 결과다.
말리부보트는 3,600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통해 자본배분 전략을 실행했다. 이는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회사의 의지를 보여준다.
해양산업은 관세 불확실성이 가중된 가운데 어려운 소매환경에 직면했다. 이로 인한 소매데이터 약화와 시장 침체는 말리부보트의 성장세 유지에 도전이 되고 있다.
높은 금리와 거시경제 불확실성으로 연말 딜러 재고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향후 판매와 재고관리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26 회계연도 비용구조에 관세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원가에 1.5~3% 정도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5 회계연도 순매출은 8억760만 달러로 2.6% 감소했으며, 판매량은 4,898대로 9% 감소했다. 이는 현재 경제상황에서 회사가 직면한 광범위한 도전을 반영한다.
2025 회계연도 조정 EBITDA는 7,480만 달러로 9.1% 감소했으며, 마진은 60bp 하락한 9.3%를 기록했다. 이는 외부 압력이 말리부보트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말리부보트는 2026 회계연도 순매출이 보합에서 중단일 자릿수 퍼센트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조정 EBITDA 마진은 8~9% 수준을 예상했다. 회사는 지속되는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높은 딜러 재고 수준, 그리고 관세가 비용구조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고려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리부보트의 실적발표는 매출 증가와 신제품 출시에 힘입어 강한 4분기 실적을 보여줬다. 그러나 어려운 소매환경, 높은 딜러 재고, 관세 영향 등이 중요한 도전 과제로 대두됐다. 회사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2026 회계연도에 대해 신중한 전망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