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데스티네이션XL(DXLG)이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번 실적발표에서 데스티네이션XL은 낙관과 신중함이 교차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체 브랜드 강화로 전략을 전환하고 월별 매출 트렌드가 개선되는 등 회복 조짐이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매장 매출 감소, 이커머스 플랫폼 문제, 경쟁 심화, 관세 영향, 신규 매장 부진 등이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있다.
데스티네이션XL의 매출 트렌드는 월별로 점진적인 개선세를 보였다. 동일매장 매출은 5월 10.4% 감소에서 6월 9.6% 감소, 7월에는 7% 감소로 하락폭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점진적 개선은 어려운 소매 환경 속에서도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데스티네이션XL은 현재 56.5%를 차지하는 자체 브랜드 비중을 2027년까지 65%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수익성 개선과 고객 충성도 강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경쟁이 치열한 소매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62개 매장에 도입된 핏맵 기술은 2만3000건 이상의 체형 프로필 스캔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이 기술은 고객 참여도를 높이고 개인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데스티네이션XL은 운영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본사 인력을 15% 감축했으며, 재고 수준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재무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노드스트롬과의 협력을 통해 DXL 제품의 고객 노출도가 확대됐으며, 기념 세일 기간 동안 강한 수요를 기록했다. 이는 고객층 확대와 매출 증진을 위한 전략적 움직임이다.
2분기 동일매장 매출은 9.2% 감소했으며, 매장 매출은 7.1%, 직접 판매는 14.4% 각각 하락했다. 이는 의류 수요 부진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규 이커머스 플랫폼은 트래픽과 평균 주문액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직면했다. 전환율은 개선됐으나, 이러한 문제들이 직접 판매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추가 최적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형 의류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더 많은 소매업체들이 이 분야에 진출하면서 매출과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5 회계연도에는 관세로 인해 재고 비용이 약 400만 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재무성과에 위험요소로 작용하여 전략적 가격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신규 매장들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고객 수요 약화와 거시경제적 도전과제에 기인한 것으로, 회사는 신규 매장 오픈을 잠정 중단하고 기존 운영 최적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데스티네이션XL의 가이던스는 진행 중인 전략적 변화와 재무적 도전과제를 반영하고 있다. 회사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자체 브랜드 판매 비중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어려운 판매 환경에도 불구하고 월별 매출 트렌드는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관세 영향과 전략적 가격 조정의 필요성도 강조됐으며, 현금흐름과 프로모션 전략 개선에 집중하기 위해 신규 매장 오픈은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데스티네이션XL의 실적발표는 혼조된 전망을 보여준다. 자체 브랜드 강화와 핏맵 기술 같은 전략적 이니셔티브는 긍정적이나, 여전히 상당한 도전과제가 남아있다. 경쟁이 치열하고 불확실한 소매 환경 속에서 매출 트렌드 개선과 비용 관리가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