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크래프트하인즈(KHC)가 건강식품 장려를 위한 정부 정책으로 최근 기업분할 계획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했다.
이달 초 이 소비재 대기업은 이사회가 비과세 분할을 통해 회사를 두 개의 독립적인 상장기업으로 분할하는 계획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테이스트 엘리베이션은 소스, 스프레드, 조미료 사업에 주력하고, 북미 식품사업부는 북미 지역의 식료품 판매를 담당하게 된다.
크래프트하인즈는 런처블스, 카프리선, 마카로니 치즈, 마요네즈 등 주력 제품에 대한 수요 부진으로 최근 몇 년간 어려움을 겪어왔다. 회사는 포트폴리오 재편과 건강식품 투자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증권가는 이러한 조치가 브랜드 회생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미 보건장관이 이끄는 '메이크 아메리카 헬시 어게인(MAHA)' 운동의 부상은 케첩과 치즈 슬라이스로 유명한 이 회사에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 케네디 장관은 인공 첨가물이 소아 당뇨병과 비만 같은 만성질환의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전직 직원들은 회사가 보존제와 인공 첨가물을 줄일 기회를 놓쳤으며, 비용이 많이 드는 이러한 변화가 매출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데 회의적이라고 전했다.
MAHA 위원회는 이번 주 포장식품의 화학 첨가물 검토와 초가공식품 정의를 미 정부에 촉구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여기에 더해 미국 최대 인구 주인 캘리포니아주 의회는 이달 중 초가공식품 규제 법안을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독립 식품산업 분석가인 니콜라스 페러데이는 크래프트하인즈의 분할 후 전망이 여전히 어둡다고 평가했다. 그는 "분할 자체로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으며, 회사에 어떻게 활력과 흥미, 명확성을 불어넣을 것인지 설명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크래프트하인즈는 로이터에 영양가 있고 저렴한 식품 제공에 주력하고 있으며, 설탕 사용을 줄이고 1,000개 이상의 레시피를 개선했으며 미국 브랜드에서 합성 착색료를 제거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팁랭크스에 따르면 크래프트하인즈는 15개의 보유 의견과 1개의 매도 의견을 받아 종합 보유 의견을 기록했다. 최고 목표가는 30달러다. 주가 합의 목표가는 28.19달러로 5.54%의 상승여력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