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체이스(JPMorgan Chase & Co.)의 CEO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이 미국의 부채 위기 해결책으로 부자증세를 제안했다. 그는 부유층에게 중산층과 같거나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이먼 CEO는 최근 'PBS 뉴스 아워' 인터뷰에서 미국이 극단적인 지출 삭감 없이도 증가하는 부채를 관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8일 보도에 따르면, 그는 유익한 정책에 투자하면서도 부채를 줄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다이먼은 "더 나은 국가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곳에 돈을 쓰겠다. 여기에는 인프라, 근로소득세액공제, 군사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경쟁력 있는 국가 세금 체계와 경제 성장 극대화를 제안했다.
다이먼의 제안은 '워런 버핏 룰'을 연상케 한다. 이는 연간 100만 달러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가구가 중산층보다 더 적은 세금을 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이다. 이 원칙은 자신의 비서가 자신보다 더 높은 세율을 내고 있다고 비판한 억만장자 투자자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의 이름을 따 명명됐다.
지난 1년간 경제학자들이 연방정부의 급증하는 부채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으면서 부유한 미국인들에 대한 증세 요구가 커졌다. 현재 미국의 부채는 35조 달러라는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높은 차입 비용과 잠재적인 디폴트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다이먼의 낙관론에도 불구하고 모든 이가 증세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일각에서는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지출 삭감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다이먼의 제안은 2011년 워런 버핏이 주장한 초고액 자산가에 대한 증세 요구와 맥을 같이한다. 버핏은 오랫동안 일반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재정 정책을 옹호해 왔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초고액 자산가의 실효세율이 역사상 처음으로 근로자 계층보다 낮아졌다고 한다. 이는 2024년 5월 벤징가 보도에서 지적된 바 있다.
부의 집중이 전 세계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경제학자들은 억만장자들에 대한 최저세율 제안이 곧 현실화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2024년 8월 벤징가가 보도한 바 있다.
포브스에 따르면 다이먼의 순자산은 23억 달러로 추정된다. 그는 2006년부터 JP모건 체이스의 CEO를 맡았으며 2007년부터는 이사회 의장을 겸임하고 있다. 앞서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다이먼을 재무장관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