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승리 이후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대해 낙관론을 보이면서도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실시한 11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11월 1일부터 7일까지 진행된 이번 조사는 트럼프의 승리와 공화당의 의회 장악 가능성 이후 투자 심리가 크게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펀드매니저들은 고성장, 고인플레이션 환경에 대비해 포지션을 취하고 있으며, 미국 주식과 소형주, 달러 강세에 베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트럼프의 승리로 펀드매니저들의 성장 및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극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 전에는 응답자의 순 -10%만이 글로벌 경제 성장 강화를 예상했으나, 선거 후에는 순 23%로 급증해 2021년 8월 이후 가장 낙관적인 전망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미국 성장 전망도 10월의 -22%에서 28%로 급등했다. 이는 트럼프의 감세와 규제 완화 정책이 국내 경제 확장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다.
인플레이션 전망도 급반전했다. 10월 조사에서는 순 -44%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을 예상했으나, 선거 후에는 순 10%가 인플레이션 상승을 전망해 2021년 8월 이후 처음으로 양(+)의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선거 후 응답자 중 10%가 향후 12개월 내 인플레이션 상승을 예상해 올해 초 거의 0%에 가까웠던 것과 대조를 이뤘다.
경제의 '연착륙' - 즉 경기침체 없이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는 시나리오 - 에 대한 투자자들의 낙관론은 선거 이후 약화됐다. 연착륙 가능성은 선거 전 76%에서 선거 후 55%로 떨어졌고, 성장이 지속되면서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는 '노랜딩' 시나리오 가능성은 14%에서 33%로 급증했다.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경착륙' 시나리오 가능성은 8%로 여전히 낮았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선거 전 4.3%로 높았던 현금 보유 수준이 선거 후 4.0%로 떨어졌다. 이는 펀드매니저들이 위험 자산으로 다시 돌아섰음을 시사한다.
트럼프의 승리로 미국 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선거 후 응답자 중 29%가 미국 주식에 대해 비중확대 입장을 취해 10월의 10%에서 크게 늘었다. 이는 2013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소형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응답자의 35%가 대형주보다 소형주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는 선거 전 6%에서 크게 늘어난 수치다. 하이일드 채권도 인기를 얻어 순 41%가 투자등급 채권보다 하이일드 채권을 선호한다고 답해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5년 최고 성과를 낼 자산군을 묻는 질문에 선거 후 응답자의 43%가 미국 주식을 1위로 꼽았고, 글로벌 주식(20%)과 금(15%)이 그 뒤를 이었다.
개별 주가지수의 경우 미국 소형주를 추종하는 아이셰어즈 러셀 2000 ETF(NYSE:IWM)가 2025년 선두를 달릴 것이라는 전망이 35%로 가장 높았다.
나스닥 100(28%)과 MSCI 이머징마켓(15%)이 그 뒤를 이었다.
트럼프의 친성장 정책과 잠재적인 무역 제한 조치로 인해 투자자들은 2025년 달러 강세에 베팅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선거 후 응답자의 45%가 향후 1년간 달러가 가장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선거 전 달러에 대한 기대가 다소 약했던 것과 대조를 이룬다.
설문조사는 펀드매니저들에게 2025년 가장 낙관적으로 예상되는 발전 요인을 물었고, 답변은 트럼프의 국내 경제 정책에 대한 기대를 반영했다.
선거 후 응답자들은 미국의 잠재적 감세를 주요 촉매제로 꼽았으며, 33%가 이를 향후 1년간 시장의 가장 큰 상승 동력으로 지목했다. 한편 35%는 중국의 성장 반등을 지목했는데, 이는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시장 요인이 되어왔다.
기타 낙관적 요인으로는 AI 주도의 생산성 향상(15%)과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15%)이 있었지만, 이들은 상대적으로 덜 언급됐다.
펀드매니저들은 여전히 채권 수익률의 '무질서한 상승'과 글로벌 무역 갈등 고조 가능성 등 특정 위험에 대해 경계심을 보였다. 선거 후 응답자 중 50%가 채권 수익률의 갑작스러운 급등을 2025년 최대 '꼬리 위험'으로 지목했고, 30%는 새로운 글로벌 무역전쟁 위험을 꼽았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부과하고 무역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할 가능성이 높아 중국과 EU 등 주요 교역국과의 관계 악화에 대한 우려가 투자자들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