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 분석은 투자자와 업계 전문가들에게 필수적이다. 이번 기사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서비스 업계의 메타플랫폼스(나스닥: META)와 주요 경쟁사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주요 재무 지표, 시장 지위, 성장 전망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투자자들에게 가치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업계 내 메타의 실적을 조명하고자 한다.
메타는 전 세계 월간 활성 사용자 수가 약 40억 명에 달하는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기업이다. 핵심 사업인 '패밀리 앱'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신저, 왓츠앱으로 구성된다. 최종 사용자들은 이 앱들을 통해 친구와 소통하거나 유명인을 팔로우하고 디지털 비즈니스를 무료로 운영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메타는 자사 앱 생태계에서 수집한 고객 데이터를 패키지화해 디지털 광고주들에게 판매한다. 최근 리얼리티랩스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메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작은 편이다.
기업명 | P/E | P/B | P/S | ROE | EBITDA (단위: 10억 달러) | 매출총이익 (단위: 10억 달러) | 매출 성장률 |
---|---|---|---|---|---|---|---|
메타플랫폼스 | 26.39 | 8.58 | 9.39 | 9.77% | 22.06 | 33.21 | 18.87% |
알파벳 | 21.85 | 6.42 | 6.07 | 8.55% | 35.74 | 51.79 | 15.09% |
바이두 | 10.58 | 0.78 | 1.52 | 2.98% | 9.27 | 17.16 | -2.58% |
핀터레스트 | 93.81 | 7.01 | 6.01 | 1.0% | -0.0 | 0.71 | 17.71% |
칸준 | 29.40 | 2.77 | 6.16 | 2.92% | 0.36 | 1.6 | 28.85% |
줌인포 테크놀로지스 | 354.33 | 2.19 | 3.25 | 1.35% | 0.07 | 0.26 | -3.25% |
지프 데이비스 | 43.46 | 1.42 | 1.91 | -2.68% | 0.02 | 0.3 | 3.69% |
옐프 | 22.03 | 3.22 | 1.87 | 5.21% | 0.06 | 0.33 | 4.41% |
웨이보 | 6.11 | 0.61 | 1.32 | 3.78% | 0.14 | 0.37 | 5.05% |
JOYY | 8.50 | 0.37 | 1 | 1.0% | 0.05 | 0.2 | 3.25% |
트립어드바이저 | 53.35 | 2.05 | 1.14 | 4.33% | 0.1 | 0.48 | -0.19% |
카스닷컴 | 32.76 | 2.49 | 1.82 | 3.75% | 0.06 | 0.15 | 3.05% |
평균 | 61.47 | 2.67 | 2.92 | 2.93% | 4.17 | 6.67 | 6.83% |
메타플랫폼스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주가수익비율(P/E)이 26.39로 업계 평균보다 0.43배 낮아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주가순자산비율(P/B)은 8.58로 업계 평균의 3.21배에 달해, 장부가 대비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가매출비율(P/S)은 9.39로 업계 평균의 3.22배에 달해, 매출 실적 대비 고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77%로 업계 평균보다 6.84% 높아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EBITDA는 220억 6000만 달러로 업계 평균의 5.29배에 달해 수익성과 현금 창출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총이익은 332억 1000만 달러로 업계 평균의 4.98배에 달해 핵심 사업에서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
매출 성장률은 18.87%로 업계 평균 6.83%를 크게 상회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부채비율(D/E)은 기업이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많은 차입금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부채비율을 통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 프로파일을 간단히 평가할 수 있어 업계 비교 시 유용하게 활용된다.
메타플랫폼스의 부채비율을 상위 4개 경쟁사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메타플랫폼스의 부채비율은 0.3으로, 상위 4개 경쟁사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메타플랫폼스가 부채와 자기자본 간 균형이 양호한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의미하며,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요소다.
메타플랫폼스의 경우 동종업계 대비 주가수익비율(P/E)이 낮아 저평가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주가순자산비율(P/B)과 주가매출비율(P/S)은 높아 업계 기준으로 볼 때 고평가된 측면이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EBITDA, 매출총이익, 매출 성장률 등에서 메타플랫폼스는 경쟁사들을 압도하며 인터랙티브 미디어·서비스 업계에서 우수한 재무성과와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