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NASDAQ:TSLA)와 자동차 업계 주요 경쟁사들의 실적을 비교 분석했다. 주요 재무지표와 시장 지위, 성장 전망을 면밀히 살펴보며 업계 내 테슬라의 성과를 조명했다.
테슬라는 배터리 전기차 제조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수직계열화한 기업이다. 고급 세단과 중형 세단, 크로스오버 SUV, 경트럭, 세미트럭 등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더 저렴한 차량과 스포츠카 출시, 로보택시 서비스도 계획하고 있다. 2024년 글로벌 판매량은 180만대를 약간 밑돌았다.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과 유틸리티용 정치형 배터리,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지붕도 판매하고 있으며, 초고속 충전 네트워크도 보유하고 있다.
기업명 | P/E | P/B | P/S | ROE | EBITDA(십억달러) | 매출총이익(십억달러) | 매출성장률 |
---|---|---|---|---|---|---|---|
테슬라 | 143.62 | 12.92 | 10.49 | 3.24% | 4.36 | 4.18 | 2.15% |
도요타자동차 | 7.07 | 0.98 | 0.77 | 6.24% | 3363.38 | 2378.91 | 2.91% |
제너럴모터스 | 7.71 | 0.78 | 0.30 | -2.57% | 0.89 | 4.85 | 10.99% |
포드자동차 | 6.54 | 0.84 | 0.21 | 4.09% | 4.06 | 4.01 | 4.89% |
리오토 | 23.20 | 3.56 | 1.77 | 4.35% | 3.48 | 9.22 | 23.63% |
토르인더스트리 | 25.35 | 1.30 | 0.55 | -0.05% | 0.08 | 0.28 | -14.31% |
패러데이퓨처 | 0 | 0.64 | 16.97 | -53.59% | -0.06 | -0.02 | -98.37% |
평균 | 11.65 | 1.35 | 3.43 | -6.92% | 561.97 | 399.54 | -11.71% |
테슬라의 주요 지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가수익비율(P/E)은 143.62로 업계 평균보다 12.33배 높아 시장에서 프리미엄이 형성되어 있다.
주가순자산비율(P/B)은 12.92로 업계 평균 대비 9.57배 높아 장부가 기준으로 고평가 상태일 수 있다.
주가매출비율(P/S)은 10.49로 업계 평균의 3.06배를 기록해 매출 대비 주가가 높은 수준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24%로 업계 평균보다 10.16% 높아 자기자본 활용도가 우수하다.
EBITDA는 43.6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0.01배 수준이며,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개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매출총이익은 41.8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0.01배 수준으로 생산원가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매출성장률은 2.15%로 업계 평균 -11.71% 대비 양호한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부채자본비율(D/E)은 기업의 재무구조에서 부채가 자기자본 대비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이 비율은 기업의 재무건전성과 리스크 프로필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테슬라와 상위 4개 경쟁사의 부채자본비율을 비교한 결과:
테슬라의 부채자본비율은 0.19로 상위 4개 경쟁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테슬라가 부채 의존도가 낮고 부채와 자기자본 간 균형이 양호함을 보여준다.
자동차 업계 경쟁사들과 비교했을 때 테슬라의 P/E, P/B, P/S 비율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실적과 장부가치, 매출 대비 주가가 고평가 상태일 수 있다. 반면 높은 ROE와 매출성장률은 수익성과 성장 잠재력이 양호함을 보여주며, 이는 낮은 EBITDA와 매출총이익률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