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독일이 비트코인(CRYPTO: BTC)과 이더리움(CRYPTO: ETH) 등 암호화폐에 대한 과세 방식을 대폭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년 이상 보유 시 양도소득세를 면제해주는 현행 제도가 폐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주요 내용
연립정부 협상에서 '예산·세제·재정' 실무그룹이 마련한 최종 초안에 따르면, 암호화폐 수익에 대해 주식 투자와 동일하게 30%의 단일세율로 과세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는 독일의 디지털자산 과세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현재 독일 투자자들은 암호화폐를 1년 이상 보유할 경우 수익에 대한 과세가 면제되며, 이로 인해 장기 보유자들에게 유리한 투자처로 여겨져 왔다.
BTC-ECHO가 입수한 문건에 따르면 사회민주당(SPD)이 암호화폐와 전통 자산의 과세 형평성을 맞추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SPD의 선거 공약에는 암호화폐 과세 변경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없었으며, 현재까지 이 제안에 대한 당의 공식 입장도 나오지 않은 상태다.
SPD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이 계획은 내부 저항에 직면해 있다. 기민/기사연합(CDU/CSU) 소속 의원들은 이 제안이 법제화될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당 내부 관계자들은 BTC-ECHO와의 인터뷰에서 1년 면제 조항 폐지와 양도소득세 인상이 다른 미해결 협상 사안들에 비해 우선순위가 낮다고 전했다.
연립정부 실무그룹은 월요일 초기 논의를 마쳤다. 이들의 권고안은 이제 당 지도부의 검토를 거쳐 최종 협상 단계에서 각 당의 고위 지도부가 참여하는 논의로 이어질 예정이다.
시장 영향
1년 보유 면제 조항 폐지안이 채택될 경우, 독일은 2022년 암호화폐에 단일세율을 도입하고 1년 규정을 폐지한 오스트리아와 유사한 모델을 채택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이러한 변화로 투자자들의 문서 작업이 간소화되고 거래소가 자동으로 세금 공제를 처리할 수 있게 됐지만, 세금 부담 증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이번 협상의 결과에 따라 독일이 오스트리아의 선례를 따를지, 아니면 현재의 완화된 암호화폐 과세 정책을 유지할지가 결정될 전망이다.
이번 논의는 독일 정부가 2024년 보유하고 있던 5만 BTC를 매각한 이후 진행되는 것으로, 당시 매각 결정은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현재로서는 독일의 암호화폐 과세 정책의 향방이 불확실한 상황이며, 정치적 입장 차이가 최종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