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 야데니 월가 전략가가 '호황의 2020년대'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스태그플레이션 경고음을 높였다. 새로운 미국의 관세 정책이 기업 수익성을 압박하고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야데니는 최근 보고서에서 2020년대 호황 시나리오 가능성을 65%에서 55%로 낮추고, 경제성장 둔화와 높은 인플레이션이 동반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45%로 상향 조정했다. 이같은 전망 수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3일부터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에 따른 것이다. 이는 기존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에 추가되는 조치다. 최근 관세 발표에 이어 모든 수입품에 20% 일괄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반적인 산업계의 원가 상승과 소비자 물가 인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관세발 인플레이션 공포 야데니는 연준의 주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디플레이터 기준 2025년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기존 2.0%-3.0%에서 3.0%-4.0%로 상향 조정했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