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중국증시 무료 강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138869df34f779414285673a7181b19c50.jpg)

옥스팜의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공화당의 감세안이 미국의 부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 비영리단체는 해당 법안이 부유층에 불균형적으로 혜택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요 내용
옥스팜 아메리카의 연구에 따르면 제안된 감세안이 일반 시민보다 부유층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CNN 보도에 따르면, 이 보고서는 초부유층과 억만장자들을 대상으로 한 부유세 도입 가능성도 검토했다. 분석 결과 10대 부호들에게 10억 달러 초과 자산에 대해 3% 과세 시 500억 달러의 세수가 발생하며, 이는 2,250만 명에게 1년간 식량 지원이 가능한 규모다.
하지만 이러한 부유세 도입은 순자산 평가나 헌법적 문제 등 상당한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 한편 의회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표적 조세 법안인 2017년 감세·일자리법(Tax Cuts and Jobs Act) 연장 여부를 놓고 논의가 진행 중이다.
초당파 기관인 의회예산국(CBO)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원 빅 뷰티풀 빌 법안'의 혜택이 고르게 분배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10% 소득자의 가계 자원은 2033년까지 4% 감소하는 반면, 상위 10%는 감세 효과로 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의 경제학 교수인 켄트 스메터스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상위 10% 가구가 10년간 약 3.1조 달러의 감세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테슬라(NASDAQ:TSLA) CEO 일론 머스크, 아마존(NASDAQ:AMZN)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메타플랫폼스(NASDAQ:META) CEO 마크 저커버그 등 억만장자들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영향
'원 빅 뷰티풀 빌 법안'이 부의 불평등에 미칠 잠재적 영향은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의회예산국의 최근 보고서는 2033년까지 최하위 10% 미국인의 소득이 4%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며, 이는 부의 격차 확대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한편 이 법안이 재정적자에 미칠 영향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의회예산국 보고서는 2017년 감세법 연장을 포함한 세제 변경으로 연방 재정적자가 3.8조 달러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우려는 정치권의 강력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공화당이 심야 투표를 통해 법안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그들의 의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부의 불평등과 재정적자에 미칠 영향은 현재 진행 중인 정치적 논쟁의 핵심 쟁점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