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 메인
  • NEWS

J&J, 암·심혈관 부문 호조에도 스텔라라 특허만료 부담...연간 가이던스 상향

TipRanks Auto-Generated Newsdesk 2025-07-17 09:07:50
J&J, 암·심혈관 부문 호조에도 스텔라라 특허만료 부담...연간 가이던스 상향

존슨앤드존슨(J&J)이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이번 실적발표에서 J&J는 암 치료제와 심혈관 부문에서 강세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실적을 기록했다. 회사는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향후 전망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다만 주력 제품 스텔라라의 특허 만료와 정형외과 부문의 실적 부진 등 도전 과제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 매출 성장


J&J는 2분기 전체 사업 부문에서 4.6%의 영업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혁신 의약품 부문이 3.8%, 의료기기 부문이 6.1% 성장했다. 이는 혁신과 시장 확대에 초점을 맞춘 회사의 전략이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암 치료제 부문 실적


암 치료제 부문은 22.3%의 영업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는 주로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와 전립선암, 폐암 부문의 괄목할 만한 성과에 기인한 것으로, J&J의 암 치료제 시장 내 강세를 입증했다.



의료기기 심혈관 부문 성장


의료기기 심혈관 부문은 22% 이상의 영업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이는 아비오메드와 쇼크웨이브의 신제품 성과와 전기생리학 부문의 강세에 힘입은 것으로, 의료기기 분야에서 회사의 혁신 역량을 보여줬다.



재무 가이던스 상향


J&J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20억 달러 상향하고,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를 10.60달러에서 10.85달러로 0.25달러 상향 조정했다. 이는 회사의 실적과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한다.



스텔라라 특허 만료 영향


스텔라라의 특허 만료는 710베이시스포인트의 역풍을 초래했으며, 해당 제품의 매출은 43.2% 감소했다. 이는 특허 만료에 따른 시장 점유율 유지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정형외과 사업 부진


정형외과 부문은 1.6% 감소했다. 이는 경쟁 심화, 사업 구조조정 과정의 어려움, 중국의 물량 기반 조달 정책의 부정적 영향 등에 기인했다.



이자 및 부채 영향


순이익은 인트라셀룰러 인수에 따른 추가 부채 이자와 스텔라라의 수익성 악화로 영향을 받았다. 이는 인수합병과 제품 수명주기 관리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향후 전망


J&J는 2025 회계연도 2분기의 강한 실적을 바탕으로 낙관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스텔라라의 특허 만료에 따른 상당한 역풍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암, 면역, 신경과학 분야의 전략적 혁신과 신제품 출시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전망했다.



종합하면, J&J는 주요 부문의 강세와 재무 가이던스 상향을 통해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스텔라라의 특허 만료와 정형외과 부문의 부진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으나, 혁신과 사업 다각화에 초점을 맞춘 전략이 향후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