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퀀트에쿼티] 나스닥 셀렉션](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098f32d1f3633e4c6aa69525a2cf6f5d73.jpg)

![[박준석] 퇴직연금_중국 ETF 특강](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31f031c836658a449bab213069287fb36d.jpg)
![[박준석]차이나는 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0490127707fa1042eda00fcf1d11687a87.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알파벳(GOOGL) 산하 구글이 유럽의 기술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도 EU의 AI법 준수를 선언했다.
장 전 주가가 하락한 구글은 EU의 AI법 준수를 위한 실천강령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3명의 독립 전문가가 작성한 이 자발적 실천강령은 기업들이 AI법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는 범용 AI 모델 학습에 사용된 콘텐츠 요약본 발행과 EU 저작권법 준수 등이 포함된다.
알파벳의 켄트 워커 최고법무책임자는 "이 강령이 유럽 시민과 기업들이 안전하고 최고 수준의 AI 도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AI법과 실천강령이 유럽의 AI 개발과 배포를 늦출 수 있다는 우려도 표명했다.
워커는 "특히 EU 저작권법 이탈, 승인 절차 지연, 영업비밀 노출 요구 등은 유럽의 모델 개발과 배포를 위축시켜 유럽의 경쟁력을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은 구글의 두 번째로 큰 수익 시장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도 이 강령에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메타플랫폼스(META)는 모델 개발자들에 대한 법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서명을 거부했다.
이 강령은 27개 EU 회원국에서 범용 AI 기술을 사용하는 수천 개 기업들이 새로운 AI 규정을 준수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챗봇도 이에 포함된다.
AI법은 인지행동 조작과 사회적 점수 매기기를 금지한다. 또한 생체인식과 안면인식, 교육과 고용 분야의 AI 사용 등을 '고위험' 용도로 규정한다. 앱 개발자들은 EU 진출을 위해 시스템을 등록하고 위험 및 품질 관리 의무를 충족해야 한다. 위반 시 최대 3,500만 유로(약 4,100만 달러) 또는 기업 전체 매출의 7%에 달하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이는 EU와 영국이 미국 기술기업들의 유럽 내 지배력을 견제하기 위한 광범위한 규제의 일환이다. 최근 메타 등 기업들에 대한 여러 건의 과징금 부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이유로 법적, 규제적 리스크가 미국 기술주들의 주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