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팔란티어 시총 4000억달러 돌파...트럼프發 인플레 우려에 증시 하락

2025-08-06 01:58:37
팔란티어 시총 4000억달러 돌파...트럼프發 인플레 우려에 증시 하락

화요일 미국 증시는 새로운 경제지표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하면서 하락 마감했다. 다만 S&P500 지수 최고 상승주인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의 실적 호조는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7월 공급관리자협회(ISM)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1%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 51.5%를 크게 하회했다. 이는 확장과 수축의 기준선인 50%에 근접한 수준이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서비스 부문 물가의 급격한 상승이다. ISM 물가지수는 68.5%로 2022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경기 둔화 속에서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고용 모멘텀도 추가로 약화되며 지난 금요일 발표된 부진한 고용 보고서의 내용을 재확인했다.


이러한 거시경제적 악재에도 불구하고 팔란티어는 돋보이는 실적을 기록했다. 이 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업은 월가의 매출과 이익 전망치를 모두 상회했고, 주가는 8% 이상 상승했다. 이로써 팔란티어의 시가총액은 처음으로 4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관세로 인한 경제적 영향은 최근 무역 데이터에서도 확인됐다. 6월 미국 무역적자는 602억 달러로 예상치 616억 달러를 하회했으며, 2023년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수입이 3375억 달러로 3.7%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2024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S&P 500 지수는 0.3% 하락한 6,31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는 0.4% 하락한 23,090에 마감했다. 반면 내수 기업 중심의 러셀 2000 지수는 0.3% 상승하며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국채 수익률과 달러화는 보합세를 보였다. 채권 시장은 연준의 9월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약 90%로 반영하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속에 금 가격은 0.4% 상승한 온스당 3,380달러를, 은은 1% 이상 상승한 37.80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비트코인은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악화되며 1.7% 하락한 113,000달러에 거래됐다.



주요 지수 및 ETF 동향


주요 지수가격등락률
러셀 20002,218.90+0.3%
다우존스44,158.96-0.0%
S&P 5006,312.52-0.3%
나스닥 10023,095.97-0.4%
오후 12:30 ET 기준

ETF 동향:


  • SPDR S&P 500 ETF(SPY): 0.3% 하락한 578.23달러
  • SPDR 다우존스 산업평균(DIA): 0.1% 하락한 441.38달러
  •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QQQ): 0.4% 하락한 561.80달러
  • iShares 러셀 2000 ETF(IWM): 0.3% 상승한 220.27달러
  • 소재 섹터(XLB)가 0.5% 상승하며 강세를 보인 반면, 유틸리티 섹터(XLU)는 1.1% 하락하며 약세


실적 발표 기업 주가 동향


실적 발표 기업들의 주가 변동:


  • 캐터필러(CAT): +0.8%
  • 이튼(ETN): -6.1%
  • 화이자(PFE): +3.8%
  • 메르카도리브레(MELI): +2.1%
  • 듀크 에너지(DUK): +1.2%
  • 아폴로 글로벌(APO): +2.1%
  • 메리어트(MAR): +0.5%
  • 액손(AXON): +14.6%
  • 조에티스(ZTS): -2.8%
  • 커민스(CMI): +3.5%
  • 마라톤 페트롤리엄(MPC): -0.3%
  • 얌 브랜드(YUM): -2.9%
  • 피델리티 내셔널(FIS): -8.6%
  • 브로드리지(BR): +6.9%
  • 듀폰(DD): +3.4%
  • 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ADM): +3.5%
  • 제이콥스 솔루션(J): +3.0%
  • BWX 테크놀로지(BWXT): +19.4%
  • 얌 차이나(YUMC): -4.2%
  • 익스페디터스(EXPD): -0.2%
  • 볼(BALL): -3.4%
  • 제브라 테크놀로지(ZBRA): -11.5%
  • 힘스 앤 허스(HIMS): -9.4%
  • 몰슨 쿠어스(TAP): +1.7%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예정 기업으로는 애플랙(AFL), AMD, 암젠(AMGN), 데본 에너지(DVN), 모자이크(MOS), 노블(NE), 뉴스코프(NWSA), 스냅(SNAP), 스카이웍스 솔루션(SWKS) 등이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