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엔비디아·AMD, 中 AI칩 수출 정책 변경 리스크 직면...민주당 의원들 트럼프 반대

2025-08-17 22:58:00
엔비디아·AMD, 中 AI칩 수출 정책 변경 리스크 직면...민주당 의원들 트럼프 반대

상원 민주당 지도부가 중국에 대한 AI 반도체 판매를 허용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공개서한을 통해 이번 정책이 미국의 국가안보 목표와 상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당 정책은 엔비디아와 AMD가 매출의 15%를 미국에 납부하는 조건으로 중국에 첨단 AI칩 판매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원의원들은 중국의 고성능 칩 접근성을 높이는 어떠한 조치도 중국의 AI 산업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미국의 국방 및 기술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책 추진에 앞서 위험성을 재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서한은 AI칩의 글로벌 무역 및 군사적 활용에 대한 워싱턴의 우려가 고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 및 투자자 영향

투자자들의 핵심 관심사는 이번 서한이 정책 변화로 이어질지 여부다. 트럼프가 기존 입장을 고수한다면 현 정책이 유지되어 엔비디아와 AMD는 세계 최대 반도체 시장인 중국 접근권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트럼프가 입장을 바꿔 새로운 규제를 도입한다면 상당한 재무적 타격이 예상된다.



엔비디아는 AI 작업을 포함한 데이터센터용 칩 판매에서 주요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중국은 이들 칩의 핵심 구매처다. 기존 무역 제한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엔비디아 매출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새로운 규제로 이러한 수익원이 차단될 경우 엔비디아는 연간 수십억 달러의 매출 감소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는 성장 전망과 주가 흐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MD의 경우 AI칩 시장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이 시장에서의 성장이 향후 전략의 핵심이다. 중국 매출이 제한될 경우 데이터센터 부문 성장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는 엔비디아와의 경쟁에서 뒤처지고 AI 성장에 베팅한 투자자들의 수익을 제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번 공개서한은 반도체 기업들에 실질적 타격을 줄 수 있는 지속적인 긴장 상태를 보여준다. 정책 논쟁의 결과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AI가 기업 가치의 핵심인 시점에서 엔비디아와 AMD 모두 주요 수요처가 축소될 수 있다는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