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공급난 우려에 반도체·AI·전기차 업계 `긴장`...PwC `2035년 생산 32% 차질`
2025-07-08 19:02:33
기후변화로 인한 구리 공급 차질이 향후 10년 내 전체 반도체 생산의 3분의 1을 위협할 수 있어 AI와 전기차 혁명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35년까지 전 세계 반도체 생산의 약 32%가 기후변화로 인한 구리 공급 차질 위험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현재 수준의 4배에 달하는 수치다.
물 부족 심각 가장 큰 위험 요인은 구리 제련과 정제 과정에 필수적인 용수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 구리 생산국인 칠레는 이미 물 부족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PwC는 2035년까지 반도체 산업에 구리를 공급하는 17개국 대부분이 가뭄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기에는 중국, 호주, 페루, 브라질, 미국, 멕시코, 콩고민주공화국, 잠비아, 몽골이 포함된다. 팬데믹 봉쇄 이후 수요 급증으로 발생한 최근의 글로벌 반도체 부족 사태는 공장 가동 중단을 초래했고, 자동차 산업에 타격을 주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