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예측
  • 메인
  • NEWS

美 상공회의소, 트럼프 행정부 H-1B 비자 10만달러 수수료 `명백히 불법` 소송

2025-10-17 16:32:18
美 상공회의소, 트럼프 행정부 H-1B 비자 10만달러 수수료 `명백히 불법` 소송

미국 상공회의소가 트럼프 행정부의 신규 H-1B 비자 신청에 대한 10만달러 수수료 부과 조치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상공회의소 '중소기업·스타트업에 타격' 주장


약 30만개 기업을 대표하는 미국 상공회의소는 목요일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소송에서 상공회의소는 해당 수수료가 H-1B 프로그램을 관장하는 이민국적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이민국적법은 비자 처리에 소요되는 정부 비용을 기준으로 수수료를 책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소장에는 '이번 행정명령은 잘못된 정책일 뿐만 아니라 명백히 불법'이라고 명시됐다.


닐 브래들리 정책총괄책임자는 이 수수료가 특히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등 미국 고용주들에게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상공회의소가 숙련 노동자 비자 절차 개선을 위해 의회 및 행정부와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H-1B 수수료 법적 분쟁 격화...중국은 K비자 도입


이번 소송이 처음은 아니다. 이달 초 전미자동차노조(UAW)와 미국대학교수협회를 포함한 연합체가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에 수수료 부과 중단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1990년 H-1B 비자가 도입된 이후 의회는 매년 발급 건수를 제한해왔다. 현재 연간 법정 상한선은 6만5000건이며, 미국 대학에서 석사 학위나 박사 학위를 취득한 외국인 전문가를 위한 2만건이 추가로 배정되어 있다.


초당적 정치단체인 FWD.us는 1월 기준으로 미국 내 H-1B 비자 소지자가 약 73만명에 달하며, 부양가족 55만명을 포함해 총 130만명의 미국 거주자가 이와 관련되어 있다고 추산했다.


한편 중국은 현지 기업의 스폰서십 없이도 외국 전문인력, 특히 STEM 분야 젊은 졸업생들을 유치할 수 있는 'K비자' 프로그램을 새롭게 도입했다. 이는 미국의 H-1B 비자 프로그램에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