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뉴욕 법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형사 유죄판결을 유지하면서도 선고에서 관용을 베풀 것을 시사해 주목된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후안 M. 머천 판사는 트럼프에게 무조건 방면을 선고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무조건 방면은 징역형이나 보호관찰을 피하고 항소 기회를 보장하는 드문 판결이다.
머천 판사는 18페이지 분량의 결정문에서 트럼프의 34건 업무상 횡령 혐의에 대한 맨해튼 배심원단의 5월 유죄 평결을 뒤집지 않기로 했다. 이 혐의는 트럼프가 2016년 대선 당시 성 스캔들을 은폐하기 위해 입막음 자금을 지불한 혐의와 관련이 있다.
NYT는 머천 판사가 트럼프 측의 대통령 면책특권 위반 주장이나 최근 당선을 이유로 한 기각 요청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1월 10일로 예정된 선고를 통해 트럼프는 이달 말 취임 선서를 할 때 중죄인 신분을 유지하게 된다. 검찰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변호인단은 어떤 처벌도 트럼프의 국정 운영 능력을 저해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트럼프의 선고를 앞둔 상황은 중죄 판결을 받고 취임하는 첫 미국 대통령이라는 그의 입지를 공고히 한다. 머천 판사의 결정은 대통령 면책특권에 대한 우려와 법 앞의 평등이라는 원칙 사이에서 사법부의 역할을 부각시킨다.
트럼프의 법률팀은 여전히 항소를 통해 선고를 지연시킬 수 있어, 그의 대통령직 시작과 함께 법적, 정치적 도전이 얽히게 될 전망이다.
한편 '매가노믹스'로 불리는 트럼프의 경제 전략에 대한 우려도 다시 부상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단기 성장 전망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정책과 장기적 불안정성을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복귀가 경제적 불확실성을 증폭시켜 시장과 국제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법적 조사와 경제적 불확실성이 맞물리면서 트럼프의 대통령직은 국내 정책과 국제적 인식을 형성하는 데 있어 미지의 영역을 탐색하게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