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의 무역정책이 도마 위에 올랐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목요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옹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행정부의 무역 조치가 경제 균형 회복을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무역협정이 미국 노동자들의 이익을 등한시했다고 지적했다.
주요 내용
트럼프는 호혜적 무역관계 구축을 위해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부 예외와 유예 조치가 있었지만 기업들은 비용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일부 기업은 관세 부과에 앞서 수입을 서두르면서 무역적자가 확대되고 있다.
베센트는 관세가 장기적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는 주장을 일축했다. 그는 래리 커들로 전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과의 대화에서 "관세가 일회성 가격 조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비평가들은 추가 비용이 기업의 투자와 고용 결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베센트는 무역 문제를 넘어 금융 규제 조정의 개선 의지도 강조했다. 행정부가 규제기관 통합을 검토한다는 관측에 대해 "금융 규제기관들이 같은 악보로 노래를 불러야 한다"며 구조 개편보다는 협력을 강조했다.
시장 영향
이번 관세는 트럼프 리더십 하의 광범위한 경제 변화의 일환이다. 최근 일론 머스크의 정부효율화부(DOGE) 보고서를 토대로 1센트 동전 생산을 중단한 결정처럼 정부 지출의 비효율을 줄이려는 노력과 맥을 같이한다.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미국 산업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관세와 규제 변화의 즉각적인 영향은 불확실하다. 기업들은 비용 조정과 정책 변화가 장기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화하는 무역 환경에 직면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