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가 6,200포인트를 돌파하고 미국 증시가 7월 4일 독립기념일 연휴를 앞두고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장기 밸류에이션 지표들이 경고음을 내고 있다. 전통적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장기 밸류에이션 도구인 '버핏 지표'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것이 당장 주식을 매도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버핏 지표란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의 이름을 딴 이 지표는 미국 주식시장의 총 가치를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해 측정한다. 이는 주식시장이 실물경제 규모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됐는지를 보여주는 광범위한 지표다. 전설적인 투자자인 버핏은 이 지표를 주식시장 밸류에이션의 핵심 척도로 지지하면서 대중화했다. 2001년 인터뷰에서 그는 이를 "특정 시점의 밸류에이션 수준을 보여주는 아마도 가장 좋은 단일 지표"라고 평가했다. 7월 3일 기준, 미국 상장주식 대부분을 포함하는 윌셔 5000 지수를 기준으로 한 버핏 지표는 207%를 기록했다. 이는 주식시장 가치가 미국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