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J&J스낵푸즈(JJSF)가 3분기 실적발표를 진행했다. 다음은 실적발표의 주요 내용이다.
J&J스낵푸즈는 최근 실적발표에서 희비가 엇갈리는 결과를 공개했다. 푸드서비스 부문의 주목할 만한 성장과 성공적인 비용 최적화 전략으로 매출과 조정 EBITDA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리테일 부문의 부진, 츄로 매출 감소, 환율과 관세로 인한 마진 악화로 다소 빛이 바랬다.
J&J스낵푸즈의 순매출은 3.3% 증가한 4억5430만 달러를 기록했다. 조정 EBITDA는 1.6% 상승한 7200만 달러, 조정 EPS는 전년 1.98달러에서 소폭 상승한 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외부 도전과제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재무성과를 보여준다.
박스오피스 매출은 전년 대비 37% 급증했다. 이는 4월과 5월 마인크래프트 영화의 성공에 힘입은 것으로, 전략적 엔터테인먼트 파트너십의 긍정적 영향을 보여준다.
푸드서비스 부문 매출은 4.8% 증가했으며, 프레첼 매출은 12.8%, 바바리안 프레첼은 20% 상승했다. 이로 인해 푸드서비스 프레첼의 시장점유율이 1.3% 증가했다.
디핀닷츠 매출은 영화관 진출 확대와 함께 연초 대비 10% 증가하며 인상적인 성장을 보였다. 이는 브랜드의 인기와 전략적 시장 확대를 반영한다.
초콜릿 등 원자재 비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가격 인상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이는 마진을 유지하고 비용 상승을 상쇄하는데 도움이 됐다.
냉동음료 매출은 판매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계 매출 증가에 힘입어 6.1% 상승했다. 이는 시장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보여준다.
유통비용이 전년 매출 대비 10.2%에서 9.8%로 감소했다. 이는 화물 최적화와 연료비 절감을 통해 달성됐다.
리테일 부문은 냉동 간식과 핸드헬드 제품 판매 감소로 매출이 7.1% 하락했다. 이는 이 부문의 전략적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정판 프로그램 종료로 츄로 매출이 약 13% 감소했다. 이는 특정 제품 라인의 매출 모멘텀 유지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불리한 환율로 인해 음료 매출이 약 400bp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경제 요인이 국제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매출총이익률은 냉동음료 부문의 저마진 기계 판매 비중 증가로 전년 33.6%에서 33%로 소폭 하락했다.
관세로 인해 매출원가가 약 0.25%p 상승했으며, 10% 관세 환경에서 연간 800만 달러의 잠재적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
J&J스낵푸즈는 성장 전망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불리한 여름 날씨와 환율 악재에도 불구하고, 계절적 고마진 제품 믹스 변화와 가격 정책으로 33%의 매출총이익률을 유지했다. 개선된 프레첼 레시피와 클린라벨 냉동 간식 등 혁신과 비용절감 조치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장기적 가치 창출을 추구할 계획이다.
종합하면, J&J스낵푸즈의 실적발표는 현재 실적과 미래 전망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했다. 주요 부문의 성장과 사상 최고 실적을 달성했지만, 리테일 부문의 부진과 외부 경제 요인은 여전히 우려사항으로 남아있다. 그럼에도 회사의 전략적 이니셔티브와 혁신 중심 접근은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