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이 인공지능(AI)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전통적인 블루북(필기시험 답안지) 방식을 부활시키고 있다. 다만 교수들은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대학가, 블루북 시험 급증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챗GPT 등 AI 도구가 보편화된 2022년 말 이후 주요 대학에서 블루북 대량 구매가 급증했다. 대학 관계자들은 교실 내 필기시험이 챗봇을 이용한 부정행위를 막는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여러 대형 주립대학에서 블루북 판매가 30~80% 증가했으며, 미국 주요 제조업체인 로어링 스프링 페이퍼 프로덕츠는 자사의 주력 제품이 '학문적 진실성에 관한 전국적 논의의 중심'이 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전환은 시간 제한 글쓰기와 구두 시험 등 'AI 저항형' 평가로의 광범위한 변화를 반영한다. 아날로그 방식의 한계와 AI 탐지 도구의 실패 교수진들은 아날로그 방식으로의 전환이 한계가 있다고 경고한다. 코버넌트 칼리지의 필립 번 조교수는 "수업 외 과제로 작성하는 논문의 과정을 블루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