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전 테슬라(NASDAQ:TSLA)와 구글 임원 출신 라마 아풀로가 이끄는 우주기술 스타트업 새틀릿(Satlyt)이 지난주 미국 최초의 지자체 AI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2만5000달러의 지원금을 확보했다. 이 회사는 상호 연결된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상위 서비스 제공자'를 구축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새틀릿은 매트 마한 산호세 시장의 발표에 따르면, IBM(NYSE:IBM), CBRE그룹(NYSE:CBRE), 코액티브, J2벤처스 등 업계 심사위원들이 170개 이상의 지원자 중에서 선정했다.
10년간의 우주기술 비전을 실리콘밸리로
라마 아풀로의 새틀릿 창업 여정은 우주 탐사와 위성 기술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시작해 10년 전 도메인 구매로 이어졌다.
그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제품 매니저, 구글의 AI 스타트업 매니저, 테슬라의 통신사업 책임자 등 세계 최고 혁신 기업들을 거치며 새틀릿 창업의 기반을 다졌다.
전환점은 스페이스X 근무 시절이었다. 아풀로는 우주 컴퓨팅에 더 개방적이고 분산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회사 웹사이트에서 '스타링크가 아이폰이라면 새틀릿은 안드로이드'라고 표현하며 위성 데이터 처리의 민주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이러한 깨달음은 2024년 분산형 우주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하는 새틀릿 창업으로 이어졌다.
분산형 위성 네트워크로 엣지 컴퓨팅 혁신 주도
새틀릿의 핵심 기술은 단일 장애점 없이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한 상호 연결된 위성들의 연합체를 만드는 것이다. 이 플랫폼은 여러 위성에 걸쳐 분산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엣지 컴퓨팅 기능을 통해 지연시간을 줄이고 실시간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새틀릿은 자사의 독자적인 분산 컴퓨팅 아키텍처가 85%의 처리 효율을 달성하며 여러 노드에서 동시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 회사의 위성들은 자가 치유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지능형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99.9%의 네트워크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변화하는 조건에 적응하고 데이터 라우팅을 최적화하는 동적 메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고 설명했다.
새틀릿은 기존의 폐쇄형 위성 시스템과 달리, API, 개발자 SDK, 위성 애플리케이션 공유 및 수익화를 위한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개발자와 기업들이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위성 데이터 서비스 시장의 폭발적 성장세
업계 조사에 따르면 위성 기반 데이터 솔루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는 2024년 128억 달러 규모의 위성 데이터 서비스 시장이 2034년까지 697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8.7%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랜드 뷰 리서치도 이 분야가 2024년 121.2억 달러에서 2030년 295.9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6.3%로 전망했다.
산호세시의 초기 AI 기업 지원 배경
새틀릿은 앤틀러 VC, 슬라우슨 & 컴퍼니, 나이반, XSLA 벤처스 등 여러 벤처캐피털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20만 달러 규모의 파일럿 프로그램은 4개의 지원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 AI 기업들에게 자금 지원과 산호세의 비즈니스 자원 접근을 제공하는 구조다.
마한 시장은 발표에서 '산호세가 AI의 수도라고 자주 말하는데, 이제 우리는 실천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코액티브와 피규어 AI 같은 신생 기업부터 어도비(NASDAQ:ADBE), 페이팔(NASDAQ:PYPL), 줌(NASDAQ:ZM) 같은 기술 거인들까지, 산호세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강력한 혁신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실리콘밸리의 수도보다 더 나은 스타트업 여정의 출발점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호세시의 경제개발 사이트는 AI 스타트업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2년간의 사업세 면제와 주차 혜택을 제공하는 다운타운 오피스 인센티브와 함께 배치했다. 이는 스타트업들을 도시 중심부로 유치하고 산호세의 성장하는 AI 허브 내에 정착시키기 위해 설계된 패키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