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중국 최대 산업용품 B2B 마켓플레이스가 중국 증권당국으로부터 상장 승인을 받았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JD닷컴(JD.US, 9618.HK)의 자회사가 3년간의 기다림 끝에 드디어 시장 데뷔를 앞두고 있다. JD닷컴의 B2B 마켓플레이스인 징둥 인더스트리얼이 이번 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 웹사이트에 공식 등록됐다. 이는 중국 기업들이 미국과 홍콩 등 해외 시장 상장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핵심 규제 절차다.
CSRC 공시에 따르면 징둥 인더스트리얼은 2억5300만주의 보통주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2023년 홍콩 상장을 처음 신청했고, 작년에 두 번째 신청을 했다. 올해 3월에도 새로운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이달 말 만료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연말 전 재신청이 예상된다.
징둥 인더스트리얼은 소비자 대상 판매에 집중하는 대다수 중국 업체들과 달리 B2B 제품과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투자 옵션을 제공한다. B2B는 일반적으로 B2C보다 거래 규모가 크지만, 대량 거래로 인해 마진율이 낮은 특징이 있다.
징둥 인더스트리얼의 2024년 매출총이익률은 16.2%로, 알리바바(BABA.US, 9988.HK)의 41%, 핀듀오듀오(PDD.US)의 58%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는 알리바바가 2007년 B2B 마켓플레이스인 알리바바닷컴을 상장 5년 만에 상장 폐지한 이유를 설명해준다.
그럼에도 징둥 인더스트리얼은 기업 규모와 중국 시장 규모를 고려할 때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다. 이 회사는 사무용품, 청소용품, 생산설비 유지보수 도구 등을 포함하는 MRO(유지보수, 수리, 운영) 부문의 B2B 제품 및 서비스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3월 상장 신청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산업용품 공급망 시장 규모는 11조4000억 위안(1조6000억 달러)에 달한다.
2024년 기준 이 거대 시장의 디지털화율은 6.2%에 불과하지만 2029년까지 8.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징둥 인더스트리얼이 영업하는 중국 산업용품 공급망 기술 및 서비스 시장은 2024년 7000억 위안에서 2029년 1조1000억 위안으로 연평균 10% 성장할 전망이다.
징둥 인더스트리얼은 3월 상장 신청서에서 구체적인 자금조달 목표를 밝히지 않았다. BofA, 골드만삭스, 하이통이 주관사로, 시틱증권과 UBS가 재무자문사로 참여한다. 2023년 신청 당시 10억 달러 조달을 목표로 했으며, 현재 홍콩 IPO 시장이 활황인 점을 고려하면 이보다 더 큰 규모의 자금 조달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징둥 인더스트리얼은 2017년 JD닷컴에서 공식 분사됐으며, IPO가 성사되면 JD닷컴, JD헬스(6618.HK), JD로지스틱스(2618.HK), 뎨펑(603056.SH)에 이어 그룹의 다섯 번째 상장사가 된다. JD그룹은 2020년 핀테크 자회사인 JD테크놀로지의 상하이 상장과 작년 부동산 자회사의 상장도 시도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기업가치 측면에서 징둥 인더스트리얼은 2023년 홍산(전 세쿼이아 차이나)과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가 참여한 3억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 당시 67억 달러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현재 홍콩 증시가 활황을 보이며 IPO 시장이 수년래 최고의 호조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MRO 업계 선두주자인 어플라이드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스(AIT.US)와 WW 그레인저(WWG.US)의 주가수익비율(P/E)은 약 25배, 주가매출비율(P/S)은 약 2.5배다. 이와 유사한 배수를 적용하면 징둥 인더스트리얼의 기업가치는 2024년 매출과 조정이익 기준 40억~70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성장 둔화나 매출 감소를 보고하는 현 상황에서 징둥 인더스트리얼의 재무상태는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이 회사의 강점은 고객 주문을 모아 공급업체에 발주하는 자산경량화 모델로, 재고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이는 재고를 먼저 확보한 뒤 소비자 주문에 따라 배송하는 JD닷컴의 주력 B2C 마켓플레이스와는 다른 방식이다.
회사는 "이러한 접근방식으로 주문의 상당 부분이 공급자에서 수요자로 직접 전달되며, 자산경량화 모델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사업 확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2024년 영업수익은 전년 173억 위안 대비 18% 증가한 204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 23% 성장률에서 둔화된 수치다.
매출의 94%는 제품 판매에서, 나머지는 서비스 사업에서 발생했다. 서비스 사업은 높은 마진율로 인해 전체 매출총이익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다만 서비스 매출이 최근 3년간 정체된 반면, 전체 매출 성장은 마진율이 낮은 제품 판매 증가에 기인해 전체 매출총이익률을 낮추고 있다.
그럼에도 2024년 순이익 7억6200만 위안, 조정이익 11억 위안을 기록하며 수익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투자자들에게 징둥 인더스트리얼은 시장 지배력, 자산경량화 모델, 양호한 수익성 측면에서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된다. 이러한 요인들과 현재 홍콩 IPO 시장의 활황을 고려하면 상장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나, 투자자들은 기업가치 산정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