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실적 부진 발표 직후 대규모 할인 증자로 4200만 달러 조달
핵심 요약
연간 매출 1조 위안(14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과일 소매시장은 3대 업체가 주도하고 있다. 남부의 파고다, 북부의 시안펑, 서부의 홍지우가 그들이다. 남부의 대표주자인 선전파고다인더스트리얼(2411.HK)은 중국 최부유 지역에 위치한 강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
소비 심리 위축과 자체 운영상의 문제로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지난주 주가 대비 19% 할인된 가격으로 증자를 발표해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다.
이 과일 전문 소매업체는 2억7950만 주의 신주를 주당 1.17홍콩달러에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이는 확대된 주식 자본의 16.1%에 해당한다. 발행가는 전일 종가 1.45홍콩달러 대비 20% 가까이 할인된 수준이다. 이번 증자로 3억2700만 홍콩달러(4200만 달러)를 조달했으며, 이 중 2억 홍콩달러는 매입채무 상환에, 1억 홍콩달러는 은행 부채 상환에 사용될 예정이다.
대규모 할인에도 불구하고 파고다 주가는 다음 거래일 20% 급등했고 이후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증자 발표 이후 일주일 만에 주가는 50% 가까이 상승해 7월 수준을 회복했다.
파고다는 2001년 중국 남부 경제특구 선전에서 설립됐으며 2023년 1월 홍콩에 상장했다. 당시 상장 설명서에 따르면 중국 최대 과일 소매업체였으나 시장 점유율은 1%에 불과했다. 최대주주인 위후이용 회장은 이번 증자로 지분이 19.5%에서 16.5%로 희석됐으나 여전히 최대주주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파고다는 상장 첫해인 2023년 순이익이 11.9% 증가한 3억6200만 위안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반등이 짧게 끝나고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실적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66.1% 감소한 8851만 위안을 기록했고, 연간으로는 3억8600만 위안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2024년 주가는 76.9% 폭락했다.
회사는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경쟁 심화, 소비자 수요 변화, 자체 운영 주기 조정에 따른 어려움을 들었다. 실적이 악화되자 파고다는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에 나서 2024년 한 해 동안 약 4920만 주를 6837만 홍콩달러에 매입했다. 적자 전환에도 불구하고 2024년 주당 0.0065위안의 최종 배당금을 지급했다.
올해 들어 자사주 매입은 중단됐으나 적자는 계속됐다. 2025년 상반기에는 3억4200만 위안의 손실을 기록했고 매출은 22% 감소한 43억8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동시에 단기 은행 차입금은 23억 위안에 달했고 비유동성 은행 차입금도 2억67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영업이 악화되면서 부채비율은 작년 말 89.3%에서 6월 말 103.5%로 상승했다.
상황이 악화되자 파고다는 임대료와 인건비가 높거나 실적이 부진한 매장을 적극적으로 폐쇄하거나 이전하고 우수 매장에 집중하는 전략을 취했다. 이 과정에서 전년 대비 1639개 매장이 순감소해 총 매장 수는 4386개로 25% 이상 줄었다.
중국의 과일 소매시장은 규모가 방대하지만 매우 분산되어 있어 상위 5개 업체의 시장 점유율 합계가 3.6%에 불과하다. 이는 파고다와 같은 통합 사업자에게 큰 기회가 될 수 있지만, 회사와 경쟁사들은 소비 부진을 넘어서는 심각한 공급망 비효율 문제에 직면해 있다.
카이위안증권이 지적한 바와 같이, 중국은 각기 다른 품질 기준과 보관 요건을 가진 다양한 부패성 과일을 취급한다. 게다가 판매자들은 광범위한 지역과 복잡한 공급망을 통해 수많은 농가, 재배자, 유통업체로부터 상품을 조달해야 한다.
이는 많은 유통업체들에게 재고 관리의 악몽을 초래한다. 과일 공급망은 만성적으로 낮은 보관 효율성과 높은 폐기율에 시달리고 있으며, 중국의 신선식품 공급망 전체 폐기율은 25%에 달한다. 이는 수익성 개선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폐기율을 줄이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들은 현대적 재배 방식과 농업기술 도입으로 대응하고 있다. 업계는 제품 품질 향상, 폐기물 감소,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디지털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파고다는 중국 전역에 7개의 전국 허브와 428개의 도시급 창고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자사 제품을 판매하는 다양한 소매업체들의 조달 수요를 더 잘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가가 크게 하락한 후 파고다의 주가순자산비율(P/B)은 0.2배, 주가매출비율(P/S)은 1배 미만으로 전형적인 저평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매출총이익률이 바닥을 다지는 조짐을 보이는 것은 현재 주가 수준에서 일부 지지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매출 감소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 침체와 매장 네트워크 축소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의 핵심에는 침체된 중국 부동산 시장이 있으며, 이는 자산 가치 하락을 체감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를 위축시키고 있다. 이는 파고다와 경쟁사뿐만 아니라 중국의 전체 소매 부문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동시에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업그레이드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어서, 파고다의 단기 및 중기 전망에는 여러 장애요인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