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개월 만에 가장 긴장감 넘치는 한 주를 보냈다. 시장의 소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수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나스닥이 2.14% 상승하며 상승을 주도했고, S&P500지수는 1.7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56% 올랐다. 귀금속은 신고점을 기록했으나 고점 형성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매력적인 매수 기회가 포착되고 있다. 변동성이 컸지만 이는 모멘텀과 투자심리의 완전한 리셋을 의미할 수 있다. 향후 큰 폭의 시장 움직임이 예상된다.
주목할 종목
클라우드플레어(NET) - 수익률 81% 전망
주요 내용 - 클라우드플레어는 웹사이트, 앱, API를 위한 사이버보안, 성능,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적인 클라우드 연결 기업 - 최근 분기 매출 5억1,232만 달러, 순이익 7,506만 달러 기록 - 높은 밸류에이션: P/S 40.80배, EV/EBITDA 1,433배, 장부가 3.55 - 기술적으로는 상승삼각형 패턴 내 박스권 흐름, 상승추세 지속 전망
시장 영향 - Workers 플랫폼으로 AI 혁명 주도, 2분기 대형 기업 계약 다수 확보 - NET Dollar 스테이블코인 출시로 기계간 결제 시장 진출 - 2분기 219개 대형 고객 신규 확보, 포춘500 기업 고객 증가 - 오라클과의 전략적 제휴로 멀티클라우드 지배력 강화 - 2분기 매출 28% 증가, 연간 27% 성장 전망
투자의견 188-190달러 상회시 매수, 목표가 380-390달러
빅베어AI(BBAI) - 수익률 129% 전망
주요 내용 - AI 기반 의사결정 솔루션 제공업체로 국가안보, 공급망관리, 디지털 신원 분야 영위 - 최근 분기 매출 3,247만 달러, 순손실 2억2,862만 달러 - P/S 15.88배, 장부가 0.72의 고평가 상태 - 컵앤핸들 패턴 형성, 저항선 돌파시 상승 모멘텀 예상
시장 영향 - 미 해군 UNITAS 2025 훈련에 AI 기술 공급 - Tsecond와 전략적 제휴로 전장 AI 배치 강화 - 미 육군 1억6,515만 달러 계약 등 정부 계약 확대 - 워싱턴 커맨더스 시설 네이밍 라이츠 확보로 브랜드 가치 제고
투자의견 6.80-7.00달러 상회시 매수, 목표가 17-18달러
클린스파크(CLSK) - 수익률 95% 전망
주요 내용 - 지속가능 에너지 기반 비트코인 채굴 및 고성능 컴퓨팅 기업 - 최근 분기 매출 1억9,864만 달러, 순이익 2억5,714만 달러 - P/E 23.30배, P/S 9.46배, EV/EBITDA 8.84배의 적정 밸류에이션 - 상승채널 내 상승세 지속
시장 영향 - 비트코인 보유량 1.3만개 돌파, 9월 채굴량 전년비 27% 증가 - 고성능 컴퓨팅으로 사업 다각화 - 4억달러 규모 비트코인 담보 신용한도 확보 - GRIID 인프라 인수로 운영 기반 강화
투자의견 17-18달러 상회시 매수, 목표가 38-40달러
주간 시장 전망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모멘텀 리셋이 완료됐다. 중국과의 무역협상 오해로 인한 공포심리가 확산됐으나, 계절적 강세장이 다가오고 있어 조만간 사상 최고치 재도전이 예상된다.
섹터 및 산업 동향
기술주(XLK)가 4월 이후 최고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부동산(XLRE)이 에너지(XLE)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기술주와 경기소비재(XLY)에 긍정적 영향이 전망된다.
유틸리티/기술주 비율 유틸리티(XLU) 섹터가 기술주와 연초 이후 수익률 경쟁 중이다. 전통적으로 유틸리티 강세는 하방 리스크 신호였으나, AI 경제 시대에는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다. 현재는 기술주 우위가 지속되고 있다.
원자재 시장 디스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원자재(DBC)는 S&P500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인플레이션 가속화 신호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유동성 전망 파월 의장이 양적긴축(QT) 종료를 시사했다. 회사채(LQD)가 국채(IEI) 대비 강세를 보이며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