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투자자가 흥미로운 수학적 관점을 제시했다. 투자금이 20% 하락했다면, 원금 회복을 위해서는 현재 수준에서 25%의 상승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0달러의 투자금이 20%(20달러) 하락하면 80달러가 된다. 이때 원금을 회복하려면 80달러 자산이 25%(20달러) 상승해야 한다. 이는 포트폴리오의 상승과 하락을 바라보는 유용한 관점이다. 수익을 내는 것이 쉽지 않은 과정임을 상기시키면서 수학적 이해도 높여준다. 손실 폭이 커질수록 회복에 필요한 수익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33% 하락 후에는 50%의 상승이 필요하다. 헤지펀드의 전설 레이 달리오는 "50% 손실을 보면 원금 회복을 위해 100% 수익이 필요하다"고 자주 강조한다. 하지만 이런 초등 수학이 주식 투자를 망설이게 해서는 안 된다. 역사적으로 시장은 항상 이런 어려워 보이는 장벽을 극복해왔다. 크리에이티브 플래닝의 찰리 빌렐로가 작성한 차트는 시장의 놀라운 회복력을 보여준다. 이 차트는 역사적인 강세장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