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개월간 CMS에너지(NYSE:CMS)에 대해 4개 증권사가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강세와 약세 전망이 혼재된 모습이다.
최근 30일간의 투자의견 변화와 이전 달과의 비교를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우 긍정적 | 다소 긍정적 | 중립 | 다소 부정적 | 매우 부정적 | |
---|---|---|---|---|---|
전체 의견 | 0 | 2 | 2 | 0 | 0 |
최근 30일 | 0 | 0 | 1 | 0 | 0 |
1개월 전 | 0 | 2 | 1 | 0 | 0 |
2개월 전 | 0 | 0 | 0 | 0 | 0 |
3개월 전 | 0 | 0 | 0 | 0 | 0 |
증권가는 12개월 목표주가를 평균 77달러로 제시했다. 최고 82달러, 최저 71달러로 전망했다. 현재 평균 목표가는 이전 목표가 74.50달러 대비 3.36% 상승했다.
최근 증권사들의 분석을 살펴보면 CMS에너지에 대한 시각을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주요 증권사별 최근 평가와 목표가 조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애널리스트 | 증권사 | 투자의견 변경 | 투자의견 | 현재 목표가 | 이전 목표가 |
---|---|---|---|---|---|
스티븐 버드 | 모건스탠리 | 상향 | 중립 | 76.00달러 | 71.00달러 |
니콜라스 캄파넬라 | 바클레이스 | 상향 | 비중확대 | 82.00달러 | 78.00달러 |
소피 카프 | 키뱅크 | 상향 | 비중확대 | 79.00달러 | 76.00달러 |
스티븐 버드 | 모건스탠리 | 하향 | 중립 | 71.00달러 | 73.00달러 |
이러한 증권가의 평가는 CMS에너지의 시장 위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CMS에너지는 3개 주요 사업부문을 보유한 에너지 지주회사다. 규제 대상 유틸리티 기업인 컨슈머스 에너지는 미시간주에서 180만 고객에게 천연가스를, 190만 고객에게 전력을 공급한다. 이전 CMS엔터프라이즈였던 노스스타 클린에너지는 계약형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도매 발전 사업을 영위한다. CMS는 2021년 10월 에너뱅크를 매각했다.
시가총액: 업계 평균을 하회하는 시가총액을 기록 중이다. 이는 성장 전망이나 사업 규모 등의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매출 성장: CMS에너지의 최근 3개월 실적은 긍정적이다. 2025년 6월 30일 기준 매출 성장률은 14.37%를 기록해 유틸리티 섹터 평균을 상회했다.
순이익률: 10.77%의 순이익률을 기록해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2.43%의 ROE를 기록해 자기자본 활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자산이익률(ROA): 0.54%의 ROA를 기록해 자산 활용의 효율성이 돋보인다.
부채 관리: 부채비율이 2.21로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해 재무 레버리지가 높은 수준이다.
애널리스트들은 금융권에서 특정 주식이나 섹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한다. 기업 실적발표회, 재무제표 분석, 내부자 접촉 등을 통해 보통 분기별로 투자의견을 발표한다.
성장률, 실적, 매출 등의 예측치를 포함해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애널리스트들이 주식과 섹터의 전문가이지만, 개인의 의견을 제시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