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 산하 구글과 메타가 유튜브에서 10대를 대상으로 인스타그램 광고를 은밀히 타깃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는 구글의 미성년자 온라인 처우 관련 자체 정책을 위반한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보도를 통해 구글과 메타가 13~17세 유튜브 이용자를 겨냥해 인스타그램 광고를 노출하는 마케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시작된 이 캠페인은 광고 시스템상 '미확인' 이용자로 분류된 그룹을 대상으로 했는데, 구글은 이 그룹이 주로 18세 미만임을 알고 있었다. 이는 18세 미만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타깃 광고를 금지하는 구글의 규정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다.
이번 마케팅은 구글의 광고 수익 증대 전략과 틱톡 등 경쟁사에 맞서 젊은 이용자를 붙잡으려는 메타의 노력이 맞물린 결과다. 양사는 프랑스 광고 대기업 퍼블리시스 자회사인 스파크 파운드리와 협력해 올해 초 캐나다에서 시범 마케팅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후 성과가 좋다고 판단해 미국에서도 테스트를 진행했다.
구글은 이 의혹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으며 해당 프로젝트를 중단했다. 구글 측은 FT에 "18세 미만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광고를 전면 금지하고 있다"며 "이는 법적 요구 수준을 넘어서는 것으로, 기술적 안전장치로 뒷받침된다"고 밝혔다.
반면 메타는 '미확인' 대상 선택이 개인화나 규정 회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메타 대변인은 "구글의 '미확인' 타깃팅 옵션은 메타뿐 아니라 모든 광고주가 이용할 수 있다"며 "우리는 다른 플랫폼에서 10대를 대상으로 앱을 마케팅할 때 명확한 원칙을 따르고 있으며, 여기에는 그들의 관심사 정보를 이용해 광고를 타깃팅하지 않는 것도 포함된다"고 벤징가에 설명했다.
이번 사건은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에서 서드파티 쿠키를 유지하기로 결정해 디지털 광고계에 파문을 일으킨 직후 터졌다. 한편 메타는 최근 앱 전반에 걸쳐 광고 노출 횟수와 평균 광고 단가가 상승하며 강력한 광고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 스캔들로 인해 양사의 디지털 광고 시장 입지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 의혹은 미 상원이 새로운 아동 온라인 안전법 통과를 앞둔 시점과도 맞물린다. 초당적 지지를 받고 있는 이 법안은 기술 기업들이 자사 플랫폼이 미성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