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지수로 알려진 시장 가치평가 지표가 닷컴버블과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넘어서며 잠재적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주요 내용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의 이름을 딴 이 지표는 주식의 시가총액을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해 주식이 고평가됐는지 저평가됐는지를 판단한다. 이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총 시장 지수인 윌셔 5000과 미국 GDP가 사용된다. 윌셔 5000은 시가총액 가중 지수로, 3,000개 이상의 기업을 포함한 모든 미국 상장 기업을 추적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시장이 더 고평가된 것으로 간주된다. 롱텀트렌드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윌셔 5000 대 GDP 비율은 약 208%로, 닷컴버블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모두 넘어섰다. 참고로 2000년 인터넷 주식 광풍이 절정에 달했을 때 버핏지수는 140%였다.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로 글로벌 시장이 혼란에 빠지기 직전에는 이 비율이 110% 수준이었다. 버핏은 2001년 포춘지 기고문에서 이 수준을 가리켜 '불장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