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법무부와 보잉(NYSE:BA)이 737 맥스 여객기 2건의 치명적 사고와 관련해 체결한 유죄인정 합의안이 연방법원에 의해 기각됐다. 이번 기각은 제안된 감독관 조항 때문으로, 이를 계기로 시스템 전반의 개혁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불거졌다.
주요 내용
이번 합의안은 보잉이 정부를 기만한 혐의로 단일 중죄를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법원은 감독관 조항에 대한 우려로 이를 기각했다. 해당 조항은 보잉이 법을 준수하는 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감독할 독립 준법 감시인을 지정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법원의 기각 결정에는 보잉의 정부 계약자 지위에 미칠 영향이나, 10억 달러 이상의 벌금과 법률 비용에 대한 주주들의 예상 반응, 또는 사고 피해자 가족들의 강력한 반대 등은 고려되지 않았다. 법원은 오히려 감독관 선정 기준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했다.
그러나 전 법무부 검사 후이 첸과 인디애나 대학의 비즈니스 법률 및 윤리 부교수 토드 호프는 더 깊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목요일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을 통해 감독 시스템 자체가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으며 시급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문제가 훨씬 더 크다고 본다. 감독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붕괴됐고 시급한 개혁이 필요하다."
첸과 호프는 지난 20년간 연방 검사들이 점점 더 많이 활용해온 현행 기업 감독관 제도가 잘못된 인센티브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한다.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기업의 위법 행위를 줄이려는 감독의 주요 목적 달성 능력이 약화됐다는 것이다.
이들은 선정 과정의 투명성 부족, 감독 기관에 지급되는 과도한 수수료, 감독의 효과를 평가할 명확한 기준의 부재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시스템이 너무나 망가져서 감독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판단할 명확한 기준조차 없다. 감독 기간이 끝났을 때 보잉이 더 윤리적이 됐는지, 위법 행위를 더 잘 예방할 수 있게 됐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방법이 전혀 없을 것이다."
저자들은 개혁을 위한 3가지 핵심 단계를 제안했다. 감독관 선정의 투명성 제고, 성과 중심의 보상 모델로의 전환, 감독관의 업무와 성과를 평가할 일관된 측정 가능한 방법론 도입 등이다.
시장 영향
이번 합의안 기각은 보잉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기에 일어났다. 최근 보잉은 광범위한 인력 감축 전략의 일환으로 미국 내 2,500명 이상의 직원을 해고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보잉의 노사 문제도 주목받고 있다. 파업 중인 기계공들이 4년간 38% 임금 인상을 포함한 새로운 계약안에 대해 투표를 진행 중이다. 합의안 기각과 그에 따른 감독 시스템 개혁 요구는 보잉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회사가 이러한 난관을 어떻게 헤쳐 나갈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주가 동향
보잉 주가는 목요일 1.02% 하락한 156.67달러로 마감했으며, 시간외 거래에서 추가로 0.05% 하락했다. 연초 이후 주가는 37.77% 하락했다.
벤징가 프로 데이터에 따르면 23명의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가는 197.85달러로, 최고 260달러에서 최저 85달러까지 다양하다. JP모건, 웰스파고, RBC캐피털의 최근 평가는 평균 158.33달러로, 현재 가격 대비 1.11%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