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이번주 방송스케쥴

레이 달리오 "시장에 급격한 변화 올 것" 경고...관세가 통화·통화정책·재정정책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5-04-03 19:26:47
레이 달리오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설립자인 억만장자 투자자 레이 달리오가 관세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장을 경고했다. 달리오는 최근 분석을 통해 '관세 메커니즘'이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급격하고 비전통적인 변화'가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요 내용


달리오는 관세의 '1차 효과'를 강조하면서도 실제 시장 변동성은 '2차 효과'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시장과 경제에서 '급격하고 비전통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결국 생산, 무역, 자본 불균형은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달리오는 미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가 이점이 있지만 이러한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기적인 시장 안정성은 부채의 질, 국가 생산성, 건전한 정치 시스템에 대한 신뢰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시장적, 비경제적 조정이 해당 국가들에 독특하고 도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장 영향


달리오는 '세금'으로 설명되는 관세의 1차 효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 세수 창출: 관세는 부과국에 세수를 창출하며, 이는 외국 생산자와 국내 소비자가 부담한다.
  • 글로벌 효율성 저하: 관세는 글로벌 생산과 무역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 스태그플레이션 영향: 관세는 생산국에는 디플레이션, 수입국에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며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에 기여한다.
  • 국내 시장 보호: 관세는 국내 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한다.
  • 전략적 필요성: 국제 분쟁 시기에 관세는 국내 생산능력 확보에 필수적이다.
  • 의존도 감소: 관세는 외국 생산과 자본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경상수지와 자본수지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다.

달리오는 이러한 1차 효과가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실제 경제적 영향은 환율 변동과 중앙은행 및 정부의 통화·재정정책 대응에 따라 결정된다.


2차 효과


  • 보복 관세와 스태그플레이션: 피해국의 보복 관세는 광범위한 스태그플레이션 압력을 초래한다.
  • 통화정책 조정: 중앙은행은 디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해 통화정책을 완화하고,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는 긴축정책을 시행한다.
  • 재정정책 변화: 정부는 디스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지출을 늘리고,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긴축하며 관세의 경제적 영향을 완화한다.

달리오의 견해


"대규모 관세의 시장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영향은 내가 언급한 1차 효과 6가지를 넘어서며, 2차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고 달리오는 설명했다.


한편, 퍼싱스퀘어의 CEO인 억만장자 투자자 빌 액먼은 각국이 미국과의 거래를 가속화하고 보복을 자제해야 한다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밝혔다. 하지만 달리오의 분석은 관세가 글로벌 공급망, 경제, 시장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협상이 더욱 복잡해질 것임을 시사했다.


주가 동향


S&P 500 지수와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SPDR S&P 500 ETF(NYSE:SPY)와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 ETF(NASDAQ:QQQ)는 목요일 장전 하락했다. SPY는 2.98% 하락한 547.70달러, QQQ는 3.27% 하락한 460.58달러를 기록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