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주요 월가 투자은행들이 달러화 향방을 두고 엇갈린 전망을 내놓은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웰스파고의 닉 베넨브룩이 이끄는 경제팀은 지난주 고객들에게 공유한 전망에서 최근의 달러화 약세를 구조적 추세가 아닌 '전술적' 하락으로 평가하며 단기 달러 강세를 전망했다.
웰스파고는 "단기적으로 달러화가 반등할 것"이라며 2026년까지 달러화의 강세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데이터에 따르면, 10개 주요 통화와 달러인덱스(DXY) 기준 투기적 순매도 포지션이 지난주 400억 달러까지 급증해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베스코 DB USD 인덱스 불리시 펀드 ETF(NYSE:UUP)로 추적되는 달러인덱스는 연초 대비 8% 하락해 지난주 2020년 12월 이후 가장 과매도 수준을 기록했다.
기술적으로는 200일 이동평균선 대비 5.5%, 50일 이동평균선 대비 4.5% 하회하며 최근 매도세가 얼마나 공격적이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웰스파고는 미국발 정치적 불확실성과 관세 변동성이 달러화에 특수한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발 정책 불확실성과 변동성으로 인해 시장 참여자들이 달러화 자산을 매도하고 국채에서 이탈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웰스파고는 이를 미국 자산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가 아닌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했다.
반면 골드만삭스의 외환 애널리스트 카막샤 트리베디는 정반대 견해를 제시했다.
"최근 몇 주간의 급격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달러화는 추가 하락 여지가 있다"고 트리베디는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자산의 부진과 글로벌 투자자들의 헤지되지 않은 달러 자산에 대한 열기 감소가 달러화의 장기 하락을 촉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리베디는 투자자들이 단기 포지셔닝의 영향은 과대평가하고 이미 진행 중인 구조적 재배분은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는 향후 자금 배분 변화에 더 주목하고 있다"며 과거 투자자 심리 변화가 환율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이어진 사례를 언급했다.
골드만삭스의 우려는 미국의 통상 및 통화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더욱 깊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고 연준에 대한 압박을 완화하는 등 시장을 안심시키려 노력했지만, 골드만삭스는 이러한 노력이 투자자 신뢰를 빠르게 회복시킬 것이라고 보지 않고 있다.
향후 수일간의 거래에서 주요 미국 경제지표 발표가 달러화의 단기 향방을 결정지을 전망이다:
만약 데이터가 미국 경제의 약화를 확인시켜준다면, 투자자들이 연준의 더 이른,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를 반영하면서 골드만삭스의 약세 전망이 힘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고용이나 물가에서 예상 밖의 경제 회복력이 확인된다면 웰스파고의 전술적 달러 반등 전망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