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월요일 수입 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 부과를 2주 내 발표하기에 앞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국내 제약 생산시설 승인 가속화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주요 내용
이번 행정명령은 불필요한 요건을 제거하고 미국 내 신규 생산시설 승인 소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의약품 제조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백악관에 따르면 현재 제약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데 '5~10년'이 소요되는데, 이는 '국가안보 관점에서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는 백악관 보도자료를 통해 "전쟁이 발발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국가로부터 의약품을 구매하는 것을 원치 않으며, 우리는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 영향
이번 행정명령은 수십 년간 미국의 제약 생산이 크게 감소하고 대부분의 원료의약품이 중국과 기타 국가에서 생산되는 상황에서 나왔다. 로이터가 인용한 EY 분석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의 의약품 수입액은 2,030억 달러로, 이 중 73%가 아일랜드, 독일, 스위스 등 유럽에서 수입됐다.
투자자들에게 이는 제약 부문의 광범위한 변화를 시사한다. 일라이 릴리(NYSE:LLY), 존슨앤드존슨(NYSE:JNJ), 애브비(NYSE:ABBV) 등은 이미 관세 위협에 대응해 국내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예정된 관세는 미국 처방약의 90%를 공급하는 제네릭 의약품 제조업체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기존의 의약품 부족 현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250개 이상의 의약품이 부족한 상태로, 2024년 초 323개에서는 감소했지만 여전히 의료계 이해관계자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의약품을 판매하는 코스트플러스드럭스의 마크 큐반은 "인도에서 수입되는 의약품에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 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