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중국증시 무료 강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138869df34f779414285673a7181b19c50.jpg)

최근 영국과 미국의 무역협정이 중국의 반발을 불러일으키면서 런던의 대중국 관계 개선 노력에 새로운 난관이 예상된다.
주요 내용
이번 무역협정은 영국의 철강과 제약 부문에 엄격한 안보 조치를 도입하는 것으로, 미국이 지난달 '상호 관세'를 도입한 이후 처음 체결된 협정이다. 중국 외교부는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국가 간 협정이 다른 국가를 겨냥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런던을 두 경제대국 사이에서 미묘한 입장에 처하게 만들었으며, 영국 정부의 대중국 관계 개선 노력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은 중국의 이익을 해칠 수 있는 미국과의 무역 협정에 대해 각국에 경고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러한 협정을 통해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 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외교부는 "국가 간 협력이 제3자의 이익을 해치거나 그것에 반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 거시경제연구원의 장옌성 선임연구원은 이를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워싱턴의 시도로 해석했다. 그는 "이러한 독소조항은 실제로 관세보다 더 나쁘다"고 지적하면서, 중국이 보복 없이 영국과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시장 영향
이번 사태는 이달 초 체결된 미영 무역협정의 후속 발전이다. 이 협정은 관세 인하, 산업 협력 강화, 수십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시장 접근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협정에는 영국산 자동차와 철강 수출에 대한 미국의 징벌적 관세 인하가 포함되어 있지만, 영국 상품에 대한 기본 10% 관세를 완전히 철폐하지는 않았다. 영국 제품에 대한 관세 감면은 특정 수입품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232조 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이 협정은 포드(NYSE:F), 제너럴모터스(NYSE:GM), 스텔란티스(NYSE:STLA) 등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로부터 미국 자동차 산업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중 90일 관세 유예 이후 처음으로 "약자를 괴롭히고 패권을 추구하는 행위는 자기 고립을 초래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미국을 간접적으로 지칭한 것으로, 영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중국의 비판에 대해 영국 정부는 "중국과의 무역과 투자는 영국에 여전히 중요하다"며 "영국과 세계의 이익에 근거한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