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 메인
  • NEWS
이번주 방송스케쥴

골드만삭스 `S&P500 7000 근접할 것`...중장기 강세장 전망

Piero Cingari 2025-07-08 22:51:24
골드만삭스 `S&P500 7000 근접할 것`...중장기 강세장 전망

월가가 이미 사상 최고치 수준에 근접해 있지만, 골드만삭스는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다고 전망했다. 금리 하락과 대형주 모멘텀, 연준의 금리인하 전환 등을 근거로 향후 12개월 내 S&P500 지수가 6900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의 수석 미국 주식 전략가 데이비드 J 코스틴은 월요일 보고서에서 S&P500 지수가 3개월 내 6400(3% 상승), 연말까지 6600(6% 상승), 12개월 내 6900(11% 상승)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기존 전망치인 5900, 6100, 6500을 크게 상향 조정한 것이며, 시장 컨센서스인 5975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금리인하와 빅테크가 상승 동력


골드만삭스의 전망 상향은 세 가지 핵심 가정에 기반한다. 연준의 조기 금리인하 가능성, 채권 금리 하락, 대형주들의 실적 성장세 지속이다.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9월부터 시작해 1년 내 세 차례 금리를 인하하고, 2026년에 두 차례 더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2025년 말 10년물 국채 금리가 기존 전망치 4.5%보다 낮은 4.2%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실질금리가 50bp 하락할 때마다 S&P500의 선행 주가수익비율이 약 3%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대형주들의 1분기 실적 호조도 골드만삭스가 기술주 주도기업들의 '장기 성장에 대한 현재의 투자자 기대를 지속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근거가 됐다.



시장 상승 폭 제한적이나 변화 가능성


사상 최고치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종목들은 여전히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골드만삭스는 'S&P500 구성 종목의 중간값이 52주 최고치 대비 10% 이상 낮은 수준'이라며 시장 상승폭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인베스코 S&P500 동일가중 ETF는 여전히 2024년 11월 말 기록한 최고치 대비 3%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골드만삭스는 조정보다는 리더십 교체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향후 몇 달간 후발 주자들의 '따라잡기'가 '하락 동조화'보다 더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특히 최근 랠리의 강도가 이례적이었다. 4월 저점 이후 S&P500은 25% 상승했는데, 이는 지난 50년간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위 1% 수준이다.



실적 전망 유지, 관세 불확실성은 변수


골드만삭스는 2025년과 2026년 모두 7%의 실적 성장률 전망을 유지했다. 다만 코스틴은 기업 마진을 압박할 수 있는 관세 정책 변화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지적했다.


'관세 정책의 변화로 실적 전망에 큰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서도 대형주들은 재고관리와 비용 전략으로 이를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2025년 하반기 3대 투자 전략


골드만삭스는 대형주 외 종목들로의 상승세 확산에 대비한 투자 아이디어 세 가지를 제시했다:


  1. 소프트웨어·서비스, 소재, 유틸리티,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부동산 섹터 비중 확대
  2. 자본시장 회복에도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대체자산운용사 주목
  3. 금리 인하 수혜가 예상되는 변동금리 부채 보유 기업 선별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