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차이나는 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0490127707fa1042eda00fcf1d11687a87.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블랙퀀트에쿼티] 나스닥 셀렉션](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098f32d1f3633e4c6aa69525a2cf6f5d73.jpg)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새로운 무역협정으로 제약업계가 막대한 재정적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약가 인상과 의약품 접근성 제한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주요 내용
악시오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이 유럽산 브랜드 의약품에 1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제약사들은 수십억 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약가 인상과 소비자의 의약품 접근성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
RSM US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조 브루슈엘라스는 "미국인들이 수입 의약품에 대해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이번 결정의 영향을 강조했다.
특히 아일랜드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화이자(NYSE:PFE)와 존슨앤드존슨(NYSE:JNJ) 같은 미국 제약 대기업들의 주요 브랜드 의약품 및 원료 공급처다. 아일랜드는 항암제, 인슐린, 비아그라, 보톡스 등 다양한 의약품의 중요한 생산기지로 자리잡았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이번 무역협정은 아직 최종 조율 중이며 일부 제네릭 의약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예정이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다.
시장 영향
제약업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제안한 의약품 수입품에 대한 200% 관세 부과 가능성으로 긴장하고 있다. 존슨앤드존슨과 일라이 릴리(NYSE:LLY) 같은 제약 대기업들은 새로운 관세 시행에 대비하고 있다. 관세 시행 일정이 연장되면서 기업들은 잠재적 재정 영향에 대비할 시간을 더 확보했다.
하지만 제약업계의 복잡한 공급망으로 인해 어떤 기업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지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과 인도산 의약품 수입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도 업계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이전에 따른 일회성 비용을 감당할지, 아니면 특정 의약품의 향후 높아질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지 딜레마에 빠져있다. 이러한 의사결정 과정에는 업계 로비스트들과 워싱턴의 정책입안자들 간의 협상이 수반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