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예측
  • 메인
  • NEWS

트럼프, 취임 전 부채한도 폐지 주장...정치적 부담 덜려는 속내

2024-12-22 01:30:15
트럼프, 취임 전 부채한도 폐지 주장...정치적 부담 덜려는 속내

부채한도 문제가 이번 주 워싱턴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하며, 토요일 초 타결된 연말 정부 예산안 협상에 차질을 빚었다.



주요 내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부채한도를 인상하거나 완전히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 이는 자신의 취임 전에 이 문제를 해결해 향후 부채한도 논란 없이 정책 어젠다를 추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트럼프는 금요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에 "의회는 터무니없는 부채한도를 없애거나 적어도 2029년까지 연장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어떤 거래도 성사되어서는 안 된다. 압박은 항상 대통령에게 있다는 점을 명심하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의 과거 입장과는 상반된다. 2013년 1월 그는 "공화당이 부채한도를 연장한다니 믿을 수 없다. 나는 공화당원이지만 부끄럽다"고 말한 바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보도에 따르면, 연방정부의 차입 한도를 제한하는 부채한도는 오랫동안 정치적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이를 인상하지 않으면 정부 디폴트 위험이 있어 사회보장, 메디케이드, 주거 지원 등의 프로그램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시장 영향
디폴트가 발생하면 미국이 신용도 높은 차입자로서의 평판을 잃어 이자율이 급등할 수 있다. 어반 인스티튜트의 렌 버먼은 "주택담보대출과 신용카드 금리가 상승해 깊은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의 입장은 부채한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부 민주당 의원들의 견해와 일치한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매사추세츠주)도 최근 이에 동의하며 부채한도가 종종 지출 삭감을 강요하는 수단으로 악용된다고 지적했다.

과거 교착 상태에서는 수정헌법 14조 발동이나 1조 달러 플래티넘 주화 발행 등 비정상적인 해결책이 제안되기도 했다. 제이미 래스킨 하원의원(메릴랜드주)은 의회가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대안들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배경
트럼프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많은 공화당 의원들은 연방 차입에 대한 견제 수단으로서 부채한도 폐지에 반대하고 있다. 트럼프는 자신의 입장에 반대하는 공화당 의원들이 경선에서 도전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내년 초 부채한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나, 재무부가 회계 조치를 통해 늦봄까지 디폴트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토요일 초 2024 회계연도 예산안에 합의했으나, 부채한도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