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일가가 지난 6월 미국산 휴대폰과 저가 월정액 요금제를 내세운 트럼프 모바일을 발표했다. 초기 계획 중 일부가 무산된 가운데, 민주당 의원들은 이 회사의 규제 방안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주요 내용
2025년 출시가 예상되는 가운데 민주당 의원들은 출시 전부터 규제당국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더버지가 보도했다.
민주당 의원 6명은 연방통신위원회(FCC), 연방거래위원회(FTC), 식품의약국(FDA), 상무부, 재무부, 미무역대표부(USTR)에 서한을 보내 '부당한 정치적 영향력' 없이 휴대폰과 통신사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질의했다.
서한 서명 의원 명단
6개 기관은 주간 이동통신 가상사업자 규제(FCC), 소비자 기만 행위 단속(FTC), 회사가 약속한 원격의료 혜택이 있는 소프트웨어 앱 규제(FDA) 등 다양한 규제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서한은 "트럼프 모바일은 기술·통신 기업들이 MVNO 우대 조건이나 네트워크 접근성, 가격 책정, 자사 앱 탑재, T1 기기 매장 판매 등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또 다른 통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백악관이나 트럼프가 회사의 잠재적 유해 행위 조사 중단을 요구할 경우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규제당국에 질의했다.
"연방 규제당국이 트럼프 모바일과 협력사들에 대해 공정하게 경쟁법과 소비자보호법을 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부패와 사익추구 기회가 될 수 있는 상황에서 더욱 그러하다"고 강조했다.
시장 영향
이번 서한은 트럼프의 암호화폐 부문 지지가 대통령 개인의 자산과 자녀들이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기업들에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다.
여러 기술기업 CEO들이 트럼프 취임식 기금에 거액을 기부했는데, 일각에서는 이를 향후 정책에 영향을 미치거나 대통령과 우호적 관계를 맺기 위한 노골적인 뇌물로 보고 있다.
의원들은 휴대폰 출시 전에 서한을 발송함으로써 잠재적 이해상충 문제에 선제 대응하고 있다. 백악관과 규제당국은 이러한 우려를 무시하고 통신사의 자유로운 운영을 허용할 수 있다.
트럼프 모바일은 당초 '미국산' 휴대폰으로 미국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계획이었으나, 이후 해당 문구가 회사 웹사이트에서 삭제됐다. 휴대폰이 미국산이 아닐 경우 다른 통신사와 달리 관세를 적용받지 않는다는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초기 계획에는 트럼프가 45대와 47대 대통령이 될 것을 암시하는 '47 요금제'가 월 47.45달러에 제공될 예정이었다.
이용약관에 따르면 트럼프 모바일은 T-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인 리버티 모바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골드 T1 휴대폰은 100달러 계약금에 총 499달러에 사전 주문이 가능하다.
에릭 트럼프는 최근 폭스뉴스에서 "트럼프 모바일이 휴대폰과 모바일 통화에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