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주요 경제학자가 2034년까지 사회보장과 메디케어 신탁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채권시장이 의회의 조치를 촉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수석 미국 경제학자 버나드 야로스는 포춘지와의 인터뷰에서 2034년까지 예상되는 사회보장과 메디케어 신탁기금의 지급불능 사태가 중대한 변화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재정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야로스는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메디케이드, 식품 지원 삭감 등의 정책이 그의 2기 임기 동안 '긴축 편향'을 시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최근 연방 항소법원이 트럼프의 상호 관세 대부분을 무효화하면서 향후 통상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됐다.
야로스는 2030년대를 사회보장과 같은 비재량적 프로그램의 삭감이 예상되는 재정 긴축기로 지목했다.
조정이 없다면 신탁기금이 고갈되어 사회보장급여가 즉각 19% 삭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야로스는 이러한 삭감으로 금세기 중반까지 재정이전이 GDP의 15% 이상으로 증가하는 대신 11%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야로스는 부정적인 재정 상황이 미국 채권시장의 매도세를 촉발해 의회가 개혁을 재고하도록 압박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채권 감시자'로 불리는 채권 투자자들이 입법 조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파이퍼 샌들러의 애널리스트들은 채권 감시자들의 영향력을 낮게 평가했다. 채권시장이 연방 적자를 억제하지 못했고,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 이후에도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저지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사회보장과 메디케어 신탁기금의 지급불능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8월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정책 철회가 사회보장과 메디케어 같은 연방 혜택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7월 초 카토연구소는 사회보장신탁기금이 2030년까지 고갈될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개혁이 없다면 젊은 근로자들이 사회보장을 유지하기 위해 경력 전반에 걸쳐 더 많은 기여를 해야 하며, 증세나 급여 삭감으로 평생 소득에서 11만 달러에 상당하는 손실을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