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의원(켄터키주)이 최근 인터뷰에서 현재의 경제 상황이 1930년대와 "일정한 유사점"을 보인다며,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당시의 고립주의적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언급했다.
매코널은 렉싱턴 헤럴드-리더와의 인터뷰에서 "현재는 2차 세계대전 이전 이후 가장 위험한 시기"라며 "지금 상황은 1930년대와 일정한 유사점이 있다. 허버트 후버가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에 서명했는데, 이는 역사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이 대공황을 전 세계로 확산시켰다고 보는 법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시 고립주의자들을 '미국 우선주의자'라고 불렀다. 익숙하지 않은가"라고 덧붙였다.
경제학자들은 스무트-홀리 관세법이 대공황을 악화시켰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지만, 대공황의 직접적 원인은 아니라고 본다. 역사적 기록과 경제 연구에 따르면, 이 관세법은 보복 관세를 촉발하고 세계 무역의 붕괴를 심화시켜 통화 및 금융 충격으로 이미 시작된 경기 침체를 더욱 악화시켰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트럼프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에 대한 논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코널은 올해 초 이 전략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광범위한 수입 관세가 무역전쟁과 미국 소비자 및 기업의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2월 "관세는 결국 미국 국민이 부담하게 될 것"이라며, 행정부 정책의 대부분을 지지하면서도 이러한 접근방식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와튼스쿨의 제레미 시겔 명예교수는 4월 트럼프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이 악명 높은 스무트-홀리 관세법보다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겔은 CNBC 인터뷰에서 "연준이 1930년, 31년, 32년의 실수로부터 교훈을 얻은 것을 알고 있는데, 트럼프가 왜 스무트-홀리 관세법의 교훈을 배우지 않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프리 삭스 경제학자는 관세전쟁이 미국의 세 번째 주요 실수가 될 것이라며,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스무트-홀리 관세와 2008년 금융위기와 연관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