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큐반은 '의료는 권리'라고 믿지만, 미국을 단순히 전국민 의료보험제도로 전환하는 것은 고가의 현대 의료를 기반으로 구축된 국가에서는 즉각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최근 X(구 트위터)에서 이 억만장자 기업인은 '전국민 의료보험제도가 쉬운 해답으로 보일 수 있다'면서도, 다른 국가들이 채택한 전국민 의료보험제도는 '고가의 첨단 의료장비가 도입되기 이전'에 시행됐기 때문에, 의료 공급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미국이 이를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모든 이에게 공정하면서도 의료 공급자와 의사들의 파산을 막는 방식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진정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폴 B. 긴스버그 등 의료경제학자들은 오랫동안 미국의 단일보험자 모델이 행정비용과 의료공급자 지불 비용을 낮출 수 있지만, 수조 달러의 연방 재정 부담이 발생하고 의료기관과 의사들의 수입이 감소할 수 있다고 지적해왔다.
2019년 의회예산국은 이러한 상충관계를 분석하며, 의료 접근성, 공급자 수입, 전환기 혼잡 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2018년 어반연구소도 의료공급자 수가를 대폭 삭감하더라도 연방지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큐반은 보험사를 '중심축'에서 제외하고, 보험료를 없애며, 공시가격으로 현금결제 옵션을 확대하고, 환자가 부담할 수 없는 부분을 납세자 보증으로 충당하는 잠정적 방안을 제시했다. 전 '샤크탱크' 투자자인 그는 이전에도 환자들이 사전 공시된 가격으로 현금결제 의료공급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KFF 조사에 따르면, 오바마케어의 메디케이드 확대로 병원 수익이 개선되고 농촌 병원 폐쇄가 감소했지만, 대폭적인 보험사 지불 삭감은 의료공급자들에게 새로운 재정적 부담을 초래했다.
전문가들은 2025년 말 오바마케어 세금공제 혜택이 종료되면 내년 건강보험 거래소의 보험료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