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엔비디아(NASDAQ:NVDA)의 중국 시장 철수가 정책적 타격으로 비춰지고 있지만, AI 투자자들은 이를 다른 시장에서 고수익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있다.
젠슨 황 CEO는 지난주 중국 시장 점유율이 95%에서 0%로 급감했다고 밝혔다. 그는 엔비디아의 재무 전망에 더 이상 중국 매출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실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엔비디아가 현재 자원을 어디에 집중하고 있느냐다. 엔비디아는 전례 없는 수요를 견인하고 있는 AI 데이터센터, 기업용 GPU, 클라우드 파트너십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중국은 규모의 시장이었지만, 엔비디아의 AI 리더십을 견인하는 고수익 성장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중국 시장의 지정학적, 규제 준수 과제에서 벗어난 엔비디아는 이제 프리미엄 AI 칩, 기업 배치, 미국 친화적 클라우드 파트너십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투자자들은 이를 정치적으로 제약된 물량에서 엔비디아가 가격 결정력과 높은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부문으로의 자본 재배치로 봐야 한다. 이는 미묘하지만 의미 있는 전략 전환이다.
중국 시장 철수로 엔비디아는 공급망과 생산 우선순위를 재조정해야 한다. 서방의 기술 정책에 부합하는 국가와 파트너에 집중함으로써 엔비디아는 규제 리스크를 줄이고 AI 매출 성장의 핵심인 대형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AI 중심 GPU를 더 빠르게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즉, 시장 손실로 보이는 것이 실제로는 AI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수익성 높은 부문으로의 사업 전환인 셈이다.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 제로는 충격적인 헤드라인이지만, 실제 의미는 전략적 우선순위 재조정에 있다. 지역적 규모를 수익 중심의 AI 성장과 맞바꾸면서 엔비디아는 더 강력한 가격 결정력, 더 낮은 정치적 리스크, 더 높은 마진을 가진 부문에 베팅하고 있다.
투자자들에게 교훈은 분명하다. 때로는 정책적 비용이 손실이 아니라 AI 시장에서 실제 수익이 있는 곳에 초점을 맞추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